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진소리, 젤로자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암군 서호면 태백리 백운동의 논매는소리-진소리 · 젤로자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891221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영암군 |
생산지역 상세 | 서호면 태백리 백운동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2 , 논매는소리 , 진소리·젤로자소리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전라남도 , 전남 , 영암군 , 1989 , 1993 , 진소리 , 젤로자소리 , 허영석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허영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허영석 |
지역개관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태백리 백운동은 은적산 기슭에 있는 농촌으로 벼농사가 주업. 500년 전에 마을에 처음 들어온 경주 이씨 시조의 호가 백운이었다. 대대로 내려오던 당제는 끊어졌으나 명절 때마다 풍물은 친다. 여름 복중에 하루를 정해 젊은 이들이 노인들에게 경로잔치를 베푼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1일에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태백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진소리-젤로자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허영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3,4회에 걸쳐 논을 맸다. 세벌(만드리)때에는 논이 넓은 집의 일을 할 때 풍장기, 영기와 풍물악기가 따르는 풍장굿을 벌이기도 했다. 논매는 소리는 <긴소리>에 이어 <절로자소리>로 마무리된다. |
가사 | <진소리>
오늘도여 이히어 에헤에 에헤어 그렇지 오늘도야 심심하고 야속한 곳에 와서그랴 어 그렇고 말고야 아헤이 이히어 허허 노랫장이나 불러보세이 암은 그렇고 말고야 아 헤에 에헤 에이 마뒤오 불과 같이여 이히어 에헤에 에헤어 그렇지 불과 같이 나는 볕에 멧과 같이1) 지신2) 논에 그랴 어 그렇고 말고야 아허이 허허 황소같은 농군들은 지심까장 맨다네 이 암은 그렇고 말고야 아 헤에 에헤 에이 마뒤오 저건네라 이히여 허 에헤에 에헤어 그렇지 저건네라 갈미봉에 비가 묻어 몰아오네 그려 어 그렇고 말고야 아허이이히여 허허우 우장을 허리에 두르고 논에 잔지심을3) 맬거나 위 암은 그렇고 말고야 아 헤에 에헤 에이 마뒤오 저건네라 이히 여 에헤에 에헤어 그렇지 저건네라 연당호당4) 안에 그랴 어 그렇고 말고야 아허이 이히어 허허후 기상이5) 살다 나간 집이 아니냐 향내만 진동이6) 펄펄 나네 그랴 위 암은 그렇고 말고야 아 헤에 에헤 에이 마뒤오 <젤로자소리> 우야 헤야 제일로훔 우야 헤야 제일로훔 오늘날은 여기서 마치고 우야 헤야 제일로훔 내일 다시 모와서7) 또 허세 우야 헤야 제일로훔 1) 멧 : 산. 2) 지신 → 짓은 : (풀이) 우거진. 3) 잔지심 : 잔풀. 4) 연당초당(蓮塘草堂) : 연당은 연못이며 초당은 집의 원체에서 따로 떨어져 있는 억새나 짚으로 지붕을 인 조그만 집. 즉 연못가의 초당. 5) 기상 : 기생. 6) 진동이 : (향내가) 진동(震動)하다에서 온 말. 7) 모와서 : 모여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