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뒤요뒤요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암군 신북면 갈곡리 종오의 등짐소리-상사뒤요뒤요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승림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유승림 |
지역개관 |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갈곡리 종오의 마을 동쪽은 뒷산인 제숙재에 둘러싸여 있고, 마을 앞에는 사십논들 집앞들 구레들 등 너른 들이 펼쳐져 있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들앞에는 나주군 반남면과 영암군 신북면을 가르는 삼포강이 흐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19일에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갈곡리 종오에서 채집한 상사뒤요뒤요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승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가을 추수 후 볏단을 져 나르거나 저수지. 하천의 둑을 막느라 흙짐을 나르면서, 또는 산에서 나뭇짐을 지고 내려올 때 두루 부른다. |
가사 | 상사뒤요 오뒤요
상사아뒤요 오호호뒤요 가네 가네 에이 헤헤 허이 나는 가네 우리 임을 따라 오호호 가네 상사아뒤요 오호호뒤요 잘도나 허시네 어히 헤헤 허이 우리 농군들 다 잘도 오호 하시네 상사아뒤요 오호호뒤요 일락서산에 어히 헤헤 허이 해는 다 저물어가고 우리 갈 길은 머나먼 디 오오 허허 가네 상사아뒤요 오호호뒤요 무정세월아 어히 허허 허이 무정세월아 가지를 마라 아까운 청춘이 오헤 오호 다 늙네 상사아뒤요 오호호뒤요 층암절벽이 어 어히 헤헤 허이 우톱다고1) 하여도 꽃은 피어 웃고 있고 오헤 오오 상아 상사아뒤요 오호호뒤요 1) 우톱다고 : 위태롭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