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강강술래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강강술래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강강술래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영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영임 |
지역개관 |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초평리 한둑골은 멀리는 백운동이 보이고, 마을 뒤에는 불땀골 윤추정 업진봉이 마을을 에워싸고 있는 이 마을은 얼마 안되는 곳에 바다가 있어 예전부터 김, 미역양식등 바닷일과 농사를 겸하고 있다. 30여 가구가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6일에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초평리 한둑골에서 채집한 강강술래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영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임을 그리워 하는 내용의 끊임없는 사설 전개가 주목할 만하다. |
가사 | 강강술래
강강술래 달아 달아 밝은 달아 강강술래 이토백이1) 놀던 달아 강강술래 저기 저기 저 달 속에 강강술래 계수나무 박혔으니 강강술래 금도끼로 다듬어서 강강술래 옥도끼로 캐어내어 강강술래 초가삼간 집을 지어 강강술래 양친부모 모셔다가 강강술래 천년 만년 살고지고 강강술래 달 떠온다 달 떠온다 강강술래 남도산에2) 달 떠온다 강강술래 여동창에3) 비친 달이 강강술래 홀로 있는 나를 울려 강강술래 임도 없는 빈 방에는 강강술래 나 혼자만 울고 있네 강강술래 가세 가세 저 달 가세 강강술래 엄동설한 깊은 밤에 강강술래 앉었으니 잠이 오냐 강강술래 누웠으니 임이 온가 강강술래 임도 잠도 아니 오고 강강술래 우는 것이 내 눈물이 강강술래 한강수가 되었구나 강강술래 임아 임아 정든 임아 강강술래 어딜 가고 날 모른가 강강술래 오동추야 달 밝어도 강강술래 알뜰 살뜰 임의 생각 강강술래 날 버리고 가신 님은 강강술래 십리도 못 가고 발별이 난디 강강술래 한이 맺힌 정든 님아 강강술래 내 소원을 풀어주오 강강술래 강강술래 강강술래 1) 이토백 → 이태백. 2) 남도산 : 완도 남쪽에 있는 산. 3) 여동창 : 동창(東窓)에, 남도산의 남과 댓구를 이루기 위해 여를 붙인 말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