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둥당애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완도군 군외면 초평리 한둑골의 둥당애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영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영임 |
지역개관 |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초평리 한둑골은 멀리는 백운동이 보이고, 마을 뒤에는 불땀골 윤추정 업진봉이 마을을 에워싸고 있는 이 마을은 얼마 안되는 곳에 바다가 있어 예전부터 김, 미역양식등 바닷일과 농사를 겸하고 있다. 30여 가구가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6일에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초평리 한둑골에서 채집한 둥당애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영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부녀자들이 명절날 방안에 모여 놀 때 하는 노래이다. 둥당애타령에 흔히 나오는 노랫말이 아니고 거의 모두 앞소리꾼이 만들어 낸 사설인 점이 주목된다. |
가사 |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전깃불 전깃불 목포에 무안에 전깃불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밝은 전기 불 아래는 임도 보기도 좋고요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니 눈 깜박 내 눈 씰룩 둘이 다 사랑을 주었건만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니가 나를 마다고 하니 환장할 일이 전히 없네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옛날 것을 생각하니 과거의 추억이 삼삼하고나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열 다섯 살 먹어서 하던 둥당애타랑이 웬일이냐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잘 났어도 내 낭군이요 못 났어도 내 남편인데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빡보도1) 좋고 곰보도 좋고 잘 나도 좋고 못 나도 좋네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얼씨구 좋아 절씨구 좋네 아니 놀고는 못 사리로다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눈 빠질 사람 코 빠질 사람 일본대판 다 가고서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이제 올까 저제 올까 이삼년을 다 지나도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날 찾아올 줄을 모르는 정든 님 나의 마음이 서글퍼라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서있는 병풍에 저 닭이 울면 날 찾아올까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가매솥에 팔팔 끓은 저 개가 짖으면 날 찾아올까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달이 비쳐서 내 맘이 서글퍼 눈물 한강이 되었구나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발차죽 소리만 나여도 내 맘이 삼삼 임 생각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닭이 깨깨 울어도 정든 님 생각만 간절히 난다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얼씨구 절씨구 기화자 좋네 아니 놀고는 못 사리로다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새복2) 단장 곱게 허고 장다리 밭으로 날아들 때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나는 지둥을 보듬고 아리살살 돌 때에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일본 가신 정든 님 해방이나 되면 날 찾아올까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이 청춘 다가고 백발이 왔으니 어느 임이 날 찾아 올끄나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아이고 서러라 내 팔자야 허공산이3) 다 늙어지고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원치 않는 백발이 날 찾아와서 설움을 준다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1) 빡보 : 곰보. 2) 새복 : 새벽. 3) 허공산이 : 허무하게라는 뜻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