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완도군 금일읍 척치리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전판유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전판유 |
지역개관 | 척치리는 완도 동쪽 평일도에 있다. 마을 동쪽에는 마막산, 서쪽에는 금마산이 있고, 마을 앞에는 척치들이, 그 너머에는 바다가 가까이 있어 마을사람들은 농사도 짓고 바닷일도 한다. 190여가구.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31일에 전라남도 완도군 금일읍 척치리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전판유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 상여소리에는 관을 운반하며 부르는 관음보살, 운상소리인 어기가리 넘자, 비탈진 길을 올라갈 때 부르는 어화넘자가 있다. 본 음반에는 관음보살, 어이가리 넘자를 수록하였다. |
가사 | 아호 이 오호 허 관음보살
아허 이 오호 허 관음보살 아호 이 오호 허 관음보살 아허 이 오호 허 관음보살 어이넘 어이넘 어이가리넘자 너화넘 어이넘 어허널 어이가리넘자 너화넘 어이를 갈끄나 어이를 갈게 북만산으로1) 어이 갈께 어이넘 어허널 어이가리넘자 너화넘 나는 가용 나는 가요 극락세계로 나는 가요 어이넘 어허널 어이가리넘자 너화넘 가시거든 맹년 요때 오실 날짜를 일러주오 어이넘 어허널 어이가리넘자 너화넘 불쌍하고 불쌍허시2) 김씨 맹인이3) 불쌍허시 어이넘 어허널 어이가리넘자 너화넘 이 생에가4) 누구 생엔가 김씨 맹인의 생에롤시 어이넘 어허널 어이가리넘자 너화넘 가다 가다 못다 가면 화초밭에서 쉬어 가세 어이넘 어허널 어이가리넘자 너화넘 1) 북만산 → 북망산(北邙山) : 사람이 죽어서 가는 곳. 2) 안산(案山) : 집터나 묏자리의 맞은 편에 있는 산. 3) 불쌍허시 : 불쌍하다. 4) 맹인 → 망인(亡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