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성군 북하면 월성리 연동의 모심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기봉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강기봉 |
지역개관 | 연동마을은 장군봉 송대봉 병풍산으로 이어지면서 담양군과 경계를 이루는 산맥의 서쪽 기슭에 자리잡았다. 연동(嚥洞)이라는 지명은 마을 뒷산이 제비형국과 같다하여 붙혀진 이름이라 하며, 마을 입구가 산과 산이 맞닿아 흡사 문을 닫아 놓은 것 같다 하여 두문동(杜門洞)이라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산골짜기로 길게 뻗은 계곡가로 친칭이보 개안보 장사미보 등의 비옥한 농지가 있어서, 총 38가구가 농사를 짓고, 주변산에서 토종꿀을 생산하거나 조림 풀베기 가지치기 같은 노역작업을 하여 소득을 올리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1일에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월성리 연동에서 채집한 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기봉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전남지역에 흔한 상사소리이기는 하나 뒷소리가 매우 소박하고 힘차다. |
가사 | 여이 여이 여이허루 상사뒤여
여이 여이 여이허루 상사뒤여 용두산에1) 비 묻어온다 우장삿갓을 허리에 두리고 여이 여이 여이허루 상사뒤여 영광양반 논 서마지기가 거지반 절반이 다 숨거졌네 여이 여이 여이허루 상사뒤여 깊은 논에 모를 숨거 곰실 고곰실 영화로세 여이 여이 여이허루 상사뒤여 이 농사를 지어 갖고 첫째로는 선영 봉양 여이 여이 여이허루 상사뒤여 둘째로는 나라 봉양 우리 열심히 일을 허세 여이 여이 여이허루 상사뒤여 정든 님이 오신다기에 달갈 한줄을 쪄 놨는데 여이 여이 여이허루 상사뒤여 쪄놓고 내가 봉께 곤 달갈을 내 쪘고나 여이 여이 여이허루 상사뒤여 용왕님네 들어보소 금년 풍년은 물을 주소이 여이 여이 여이허루 상사뒤여 1) 용두산 : 장성군 북하면에 있는 병풍산의 다른 이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