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성군 북이면 백암리 용산의 모심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균봉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균봉 |
지역개관 | 용산마을은 곤모봉(봉구치)의 남쪽 기슭에 자리잡은 마을로, 앞으로 백암저수지에서 흘러내리는 북이천이 흐르는 가운데 밀등갱변, 용산앞 칠목동 앞 가운데 등의 농지가 펼쳐쳐 있다. 해방후에 45호까지 살었지만 지금은 31호 농가가 있을 뿐이다. 일부 농가는 낙농을 하기도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22일에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백암리 용산에서 채집한 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균봉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늦은 상사소리는 잘 녹음되지 않아서 잦은소리만 선곡하였다. |
가사 | 에에헤루 상사뒤요
에에헤루 상사뒤요 오동추야 달 밝은데 에에헤루 상사뒤요 임의 생각 간절일세 에에헤루 상사뒤요 이 배미 숨그고 저 배미로 가세 에에헤루 상사뒤요 상사물견1) 그리운 님 에에헤루 상사뒤요 손목 잡고 만단설어2) 에에헤루 상사뒤요 잘도 허네 잘도 허네 에에헤루 상사뒤요 우리 농군 잘도 허네 에에헤루 상사뒤요 빨리 빨리 숨거보세 에에헤루 상사뒤요 얼른심으고 술도 먹세 에에헤루 상사뒤요 넘어가네 넘어가네 에에헤루 상사뒤요 장성 갈재 넘어가네 에에헤루 상사뒤요 넹겨주소3) 넹겨주소 에에헤루 상사뒤요 날 쪼금 넹겨주소 에에헤루 상사뒤요 그만저만 파양궁허세4) 에에헤루 상사뒤요 1) 상사물견 → 상사불견(相思不見) : 남녀가 서로 그리워 하면서도 만나보지 못함. 2) 만단설어 → 만단설화(萬端說話) : 가슴에 서리고 서린 모든 이야기. 3) 넹겨주소 : 넘겨주소. 4) 파양궁허세 : 끝마치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