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잦은두름박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성군 북이면 백암리 용산의 논매는소리-잦은두름박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균봉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균봉 |
지역개관 | 용산마을은 곤모봉(봉구치)의 남쪽 기슭에 자리잡은 마을로, 앞으로 백암저수지에서 흘러내리는 북이천이 흐르는 가운데 밀등갱변, 용산앞 칠목동 앞 가운데 등의 농지가 펼쳐쳐 있다. 해방후에 45호까지 살었지만 지금은 31호 농가가 있을 뿐이다. 일부 농가는 낙농을 하기도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22일에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백암리 용산에서 채집한 잦은두름박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균봉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동네에서는 논배미를 초벌, 두벌, 만드리 로 세 번 한다. 초벌이나 두벌 맬 때에는 <호맹이질 소리>를 부르다가 마치면서 <긴두름박소리>를 부르며, 만드리 때에는 <긴두름박소리>와 <자진두름박소리>를 부른다. 여기에는 <잦은두름박소리>만 수록하였다. |
가사 | 뚜르르름마 허어허
뚜르르름마 허어허 오동추야 달 밝은데 뚜르르름마 허어허 임의 생각이 간절이로고나 뚜르르름마 허어허 잘도 허네 잘도 허네 뚜르르름마 허어허 우리 농부들 잘도나 허네 뚜르르름마 허어허 가세 가세 어서 가세 뚜르르름마 허어허 이술 건네 백로 가세1) 뚜르르름마 허어허 다 제웠네2) 다 제웠네 우리 농부들 다 제웠네 뚜르르름마 허어허 다 되얐네 다 되얐네 뚜르르름마 허어허 이 논빼미가 다 되얐네 뚜르르름마 허어허 1) 이술(二水)건네 백로(白鷺)가세 : 두 갈래 물줄기 건너에 있는 백로주(白鷺洲)로 가세. 강물이 갈라지는 곳에 흔히 백로가 날아드는 모래톱이 있음. 이백의 시 「등금릉봉황대(登金陵鳳凰臺)」에 二水中分白鷺洲라는 구절이 있음. 2) 제웠네 → 겨웠네, 겹네 : 겹다는 배겨내기 어렵다, 지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