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농사장원례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성군 남면 덕성리 자풍의 논매는소리-농사장원례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오규근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오규근 |
지역개관 | 자풍마을은 본디 자낭(子囊)골이라 했으나 1982년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마을 서쪽에 있는 자은마을과 동쪽의 풍산마을을 합하여 자풍으로 개칭하였다. 마을의 동쪽은 단감나무 과수원이 있고, 마을 주변의 경치논 와우당(황우당) 따똥(다부똥)이라 불리우는 비옥토에서 농사를 지어오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20일에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덕성리 자풍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 농사장원례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오규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 <풍장소리>란 풍물을 치며 소리하는 “사아든실로”, “각가롱저롱” 두 곡을 통틀어 일컫는다. “사아든실로”는 세벌 논매기 끝무렵에 논바닥을 밟고 돌아다닐 때 부르는 소리이며, “각가롱저롱”은 논매기를 끝내고 상머슴을 소에 태우고 마을로 들어오면서 부르는 길군악이다. |
가사 | 다 되았네 다 되았네
이 논 껄수가1) 다 되았네 어리청춘 드실로 오호호 오호호 오호에로 사아든실로 이 논배미를 끝마치고서 우리 농군들 일색이라 이 방천을2) 타고 갈 적 어리 청춘 들실로 오호호 오호호 오호에로 사아든실로 풍류라 가객들3) 모여놓고 술이나 안주 가득 부어 우리 농군들 놀지라고 흥을 게워서4) 놀아 볼까 어리 청춘 드실로 오호호 오호호 오호에로 사아든실로 잘도 허네 잘도 허네 우리나 농군들 다 잘도허네 깡충 깡충 뛰어가며 우리 농군들 잘도 허네 어리 청춘 드실로 오호호 오호호 오호에로 사아든실로 노자 노자 젊어 놀아 늙고 병들면 어이 놀까 젊었을 때 가객 놓고서 거드렁거리고 놀아볼까 어리 청춘 드실로 오호호 오호호 오호에로 사아든실로 이 때 한 철 못 놀아면 어느 시절에 놀소인가 늙어 청춘 허송을 말고 우리 인생들 같이 노세 어리청춘 드실로 오호호 오호호 오호에로 사아든실로 <앞소리 : 고판윤, 남, 65세> 가네 가네 나는 가네 일락서산에 나는 가네 어리청춘 드실로 오호호 오호호 오호에로 사아든실로 나오라네 나오라네 산골 처녀가 나오라네 어리청춘 드실로 오호호 오호호 오호에로 사아든실로 죽일 년아 살릴 년아 어린 자식 잠들여 놓고 반봇짐5) 싼단 말이 웬 말인가 어리청춘 드실로 오호호 오호호 오호에로 사아든실로 위 아오 어 어아 각가롱 저롱 이 논 숨고서 끝마쳤으니 각가롱 저롱 들래기 정도를 해였으니 각가롱 저롱 우리 농부들 놀고 가세 각가롱 저롱 이천리 강토를6) 소를 타고서 각가롱 저롱 내 농가집 들어를 가면 술이 한이 있을터니 각가롱 저롱 1) 껄수 : 일의 계획. 2) 방천(防川) : 냇둑. 냇가에 쌓은 둑. 3) 가객(歌客) : 노래를 잘 부르는 사람이나 노래를 업으로 삼는 사람. 4) 흥을 게워서 : 흥에 겨워서. 5) 반봇짐(半褓-) : 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는 조그마한 봇짐. 6) 이천리 강토(二千里彊土) : 이천리까지 뻗친, 국경안의 나라 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