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성군 북하면 월성리 연동의 논매는소리-밭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임영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임영택 |
지역개관 | 연동마을은 장군봉 송대봉 병풍산으로 이어지면서 담양군과 경계를 이루는 산맥의 서쪽 기슭에 자리잡았다. 연동(嚥洞)이라는 지명은 마을 뒷산이 제비형국과 같다하여 붙혀진 이름이라 하며, 마을 입구가 산과 산이 맞닿아 흡사 문을 닫아 놓은 것 같다 하여 두문동(杜門洞)이라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산골짜기로 길게 뻗은 계곡가로 친칭이보 개안보 장사미보 등의 비옥한 농지가 있어서, 총 38가구가 농사를 짓고, 주변산에서 토종꿀을 생산하거나 조림 풀베기 가지치기 같은 노역작업을 하여 소득을 올리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1일에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월성리 연동에서 채집한 밭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영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동네에서는 논을 보통 초벌, 두벌, 군벌, 만드리의 순서로 맨다. 초벌은 호미로 땅을 파엎고, 두벌은 흙덩이를 주무르며, 군벌, 만드리는 손으로 풀을 뽑는데, 가장 힘이 많이 드는 초벌만 남자들이 매고, 두벌, 군벌, 만드리는 여자들이 맸다. 남자들은 그 동안 산에서 땔나무를 하거나 보리같이 쓸 퇴비풀을 베었다. 논매는 소리는 초벌 맬 때에는 <호맹이질 소리>, <군둘금>, <육자백이> 등을 부르고, 두벌, 세벌 때는 여자들이 밭맬 때 부르는 <밭노래>를 불렀다. 간혹 여자들이 길쌈을 하느라 바쁠 때는 남자들이 논매는 일을 돕기도 했는데, 이 때에 역시 <밭노래>를 불렀다 한다. |
가사 | 못 매겄네 못 매겄네
아무리 맬래도 못 매겄네 못다나 맬 밭을 다 매고 갈라다 금봉채1) 하나를 내 잊었네 금봉채 하나는 내 당해 줄께 못 다 맬 밭을 다 매고 가세 여기를 왔다가 그저나 갈께 동에 둥실 놀고나 가세 올똥볼똥 저 남산 보소 우리도 죽으면 저 모양되리 한질같에2) 질겅포는3) 한양의4) 발질로만 다 녹아나네 동에 동창 뜨는 해는 서에 서창 감감 도네 가신 님을 잡지를 말고 일락서산에 해나 잡소 1) 금봉채(金鳳釵) : 금으로 봉황을 새겨서 만든 비녀. 2) 한질같에 : 한길가에. 3) 질겅포 : 질경이 풀. 4) 한양 → 한량(閑良) : 일정한 직위, 직책이 없는 양반계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