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고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성군 북하면 월성리 연동의 논매고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신재호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신재호 |
지역개관 | 연동마을은 장군봉 송대봉 병풍산으로 이어지면서 담양군과 경계를 이루는 산맥의 서쪽 기슭에 자리잡았다. 연동(嚥洞)이라는 지명은 마을 뒷산이 제비형국과 같다하여 붙혀진 이름이라 하며, 마을 입구가 산과 산이 맞닿아 흡사 문을 닫아 놓은 것 같다 하여 두문동(杜門洞)이라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산골짜기로 길게 뻗은 계곡가로 친칭이보 개안보 장사미보 등의 비옥한 농지가 있어서, 총 38가구가 농사를 짓고, 주변산에서 토종꿀을 생산하거나 조림 풀베기 가지치기 같은 노역작업을 하여 소득을 올리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21일에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월성리 연동에서 채집한 논매고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신재호가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다른 지역과 논매는 관습이 달라, 초벌매기 후에 풍장굿치며 상머슴을 태우고 돌아오는 길굿을 벌인다. 이 때 부르는 소리를 <풍장소리>또는 <만드리소리>라 한다. |
가사 |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가면 가고 말면은 말세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우리 농군은 이 소리가 재미져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소를 타고 가는디 행인이 돌아보네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행인이 돌아봄서 춤을 보럼보럼 추네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갈 곳이 없으며 우리나 놀고 가세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우리 농부는 이런 때 한푼이세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돈 한푼만 짊어져도 이렇게 재미질 줄 몰랐네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여러분들 다 들어봐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우리 농부 소리가 이렇게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호맹이질1) 다하고 우리는 전 부락이 놀고 가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가면 가고 말면은 말았제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돈 한푼 갖고서 괴술을2) 마소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우리 연동 부락은 언제든지 풍장굿에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용구산을3) 쳐다보소 이런 풍장이 또 있을까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용구산을 보면은 용뿌리가 분명허제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앞산 뒷산 매어도 우리 연동 여기세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에헤리 실구너 두덩덩기 떴네 1) 호맹이질 : 호미질. 2) 괴술 → 괴설(怪說) : 이상하고 믿을 수 없는 말. 3) 용구산 : 장성군 북하면에 있는 병풍산의 다른 이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