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무등짐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땔나무마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성군 북하면 월성리 연동의 나무등짐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기봉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강기봉 |
지역개관 | 연동마을은 장군봉 송대봉 병풍산으로 이어지면서 담양군과 경계를 이루는 산맥의 서쪽 기슭에 자리잡았다. 연동(嚥洞)이라는 지명은 마을 뒷산이 제비형국과 같다하여 붙혀진 이름이라 하며, 마을 입구가 산과 산이 맞닿아 흡사 문을 닫아 놓은 것 같다 하여 두문동(杜門洞)이라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산골짜기로 길게 뻗은 계곡가로 친칭이보 개안보 장사미보 등의 비옥한 농지가 있어서, 총 38가구가 농사를 짓고, 주변산에서 토종꿀을 생산하거나 조림 풀베기 가지치기 같은 노역작업을 하여 소득을 올리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21일에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월성리 연동에서 채집한 나무등짐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기봉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음력 8월 15일을 전후하여 미리 베어 낸 땔감나무를 산에서 지고 내려온다. 이 나무내리는 일은 품앗이로 여러명이 함께 일을 했는데, 이 노래는 산 여기저기에 흩어져 일 하는 사람들을 불러모아 무거운 나뭇짐을 지고 내려오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받는 소리가 두가지 선율형태로 번갈아 나온다. |
가사 | (“자 우리가 칠월 백중날 바로 앞에 나무를 베가지고, 영광양반이랑 다 내리고, 합동으로 인자 품앗이로 다 내리네그려. 우리 놉이 시방 열세명이세. 술을 대접말 갖다 놓고. 올라가네”)
헤라 리라리 러어렁가 에허 리라리 러어렁가 올라가네 올라간다 에허 리러리 러어렁가 이놈의 깔끄막1) 올라간다 에헤 리러리 러어렁가 뒤에 사람들 조심들 허소 에헤 리러리 러어렁가 앞에 사람들 설설 기소 어리러 러러 러어렁가 번짐이2) 무구우면 서뭇만3) 지소 에헤 리러리 러어렁가 첫소리가 되면은4) 설설 허소 어리러 러러 러어렁가 에헤 리라리 러어렁가 에헤 리라리 러어렁가 한잿재 중재를5) 다 내려왔네 어리러 러러 러어렁가 이 나무 내리서 어따나 땔게 에헤 리라리 러어렁가 팔월 추석에 지사를 모시고 어리러 러러 러어렁가 에헤 리라리 러어렁가 에헤 리라리 러어렁가 저기 가는 저 처녀야 어리러 러러 러어렁가 일꾼일랑 쳐다 봐라 어리러 러러 러어렁가 눈치 좋은 저 큰애기 에헤 리라리 러어렁가 지게 지어도 큰애기 욕심 어리러 러러 러어렁가 오호 리라리 러어렁가 에헤 리라리 러어렁가 따뜻한 남북동6) 못 살겄네 어리러 러러 러어렁가 지게를 지면은 옷을 벗고 에헤 리라리 러어렁가 설설 지나간 우리 일꾼 어리러 러러 러어렁가 어떤 친구가 내 속을 알께 에헤 리라리 러어렁가 쇠쟁이 모탱이7) 돌아가면 어리러 러러 러어렁가 쉴 바탕이8) 돌아오네 에헤 리라리 러어렁가 거기서 쉬어서 담배도 먹세 어리러 럴 러어렁가 뒤에 사람들 빨리덜 오소 에헤 리라리 러어렁가 쉬-! 쉬어가세 1) 깔끄막 : 언덕. 2) 번짐 : 본짐. 넉 단으로 이루어진 짐. 한 짐은 보통 넉 단을 지는데 힘이 좋은 사람은 여섯 단을 지기도 함. 땔나무의 단위는 단(다발, 뭇), 짐, 목인데 넉 단이 한 짐이고 100짐이 한 목임. 3) 서 뭇 : 석 단. 4) 첫소리가 되면은 : 첫소리(선소리)를 따라하기가 힘들면은. 5) 한잿재 중재 : 병풍산 중턱에 있는 고개 이름. 6) 남북동 : 고랑 이름. 7) 쇠쟁이 모탱이 : 쇠쟁이 모퉁이. 한압골 입구에 있음. 8) 쉴 바탕 : 쉴 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