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량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기원의례요 > 건축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성군 동화면 월산리 초지의 상량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안두섭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안두섭 |
지역개관 | 월산리에는 월전 초지 임정 월정 마을이 모여 있다. 조사 녹음이 임정 노인정에서 이루어져 이들 네 마을의 노인들이 두루 녹음에 참여하였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19일에 전라남도 장성군 동화면 월산리 초지에서 채집한 상량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안두섭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상량소리는 대체로 집터다지는 소리와 선율이나 리듬이 같다. |
가사 | 어기영차 상량이야1)
어기영차 상량이야 이 상량을 올라를 가서 어기영차 상량이야 청룡 황룡이 좌우를 허네 어기영차 상량이야 이집 성주를2) 지어 놓고 어기영차 상량이야 한송정의3) 솔을 비어 어기영차 상량이야 성주 원인이4) 어디멘가 어기영차 상량이야 경상도라 안동땅에서 어기영차 상량이야 제비원이5) 본일레라6) 어기영차 상량이야 이집 소나무 기를 적에 어기영차 상량이야 소산에 가서 소목을 내고7) 어기영차 상량이야 대산에 가서는 대목을 내려8) 어기영차 상량이야 칡으로 칭칭 동여 매다 어기영차 상량이야 이 댁 성주를 지었는데 어기영차 상량이야 이 집에 성주를 지어놓고 어기영차 상량이야 아들을 나면은 효자를 낳고 어기영차 상량이야 딸을 나면은 열녀를 낳고 어기영차 상량이야 소를 길르면 우황이9) 들고 어기영차 상량이야 말을 길르면 용마가 되네 어기영차 상량이야 어기영차 상량이야 어기영차 상량이야 올라가네 올라가네 어기영차 상량이야 마지막 상량이 올라를 가네 어기영차 상량이야 1) 상량(上樑) : 집을 지을 때 기둥 위에 올리는 마룻대, 또는 마룻대를 올리는 일. 2) 성주 : 집을 지킨다는 신령. 3) 한송정(寒松亭) : 강원도 강릉에 있는 누정. 4) 성주 원인(原因) : 성주의 근본. 5) 제비원 : 안동시에서 서북쪽으로 6킬로미터쯤 떨어진 곳에 있는 연미사라는 절 옆에, 큰 미륵이 있는 일대를 가리킴. 6) 성주 원인이~본(本)일레라 : 제비원의 미륵 오른쪽 어깨 너머에 소나무 한 그루가 있는데 이 솔의 솔씨가 온 나라에 퍼져 성주가 되었다는 설화가 있어 이곳이 성주신의 본향이라고 함. 7) 소산(小山)에 가서 소목(小木)을 내고 : 소목은 나무를 다루어 가구, 문방구 등을 만드는 사람. 8) 대산(大山)에 가서는 대목(大木)을 내고 : 대목은 큰 건축물을 짓는 목수. 9) 우황(牛黃) : 소의 쓸개에 병으로 생기는 것으로 약으로 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