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머리 머리 참머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성군 남면면 덕성리 자풍의 머리 머리 참머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덕례, 김명순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덕례, 김명순 |
지역개관 | 자풍마을은 본디 자낭(子囊)골이라 했으나 1982년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마을 서쪽에 있는 자은마을과 동쪽의 풍산마을을 합하여 자풍으로 개칭하였다. 마을의 동쪽은 단감나무 과수원이 있고, 마을 주변의 경치논 와우당(황우당) 따똥(다부똥)이라 불리우는 비옥토에서 농사를 지어오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20일에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덕성리 자풍에서 채집한 머리 머리 참머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덕례, 김명순이 참여하였다. 명절날 강강술래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의 일종이다. |
가사 | 머리 머리 참머리1)
감태2) 같은 참머리 잠을 재와 잠을 재와 멸지름으로3) 잠을 재와 못 디리여 못 디리여 공단 댕기를 못 디리여 황해도 황애장사4) 거 짊어진 것이 거 뭣인가 연집게5) 쪽집게 바늘 골미 경상도 큰애기 손노리개 어리얼썩 저리절썩 공자나 주소 맹자나 주소 참깨 들깨 드들깨 남한사라6) 드들깨 여 여 여닫이 빼 빼 빼닫이 빼닫이 속에 봉토지7) 봉토지 속에 지화 한 장8) 다래9) 둘을 숨겄더니 다래 밑이 되았구나10) 공공도 다래 실실 굴려라 올기 서산에11) 굴려라 왹양목12) 버신 솜버신 귀볼13) 걸어서 석냥반 초록 초록 단초롱14) 미 미국을 갈거나 한양의 춤을15) 갈거나 진단이야16) 진단이야 왜 왜 진단이냐 1) 참머리 : 좋은 머리. 2) 감태(甘苔) : 김. 3) 멸지름 : 머릿기름. 4) 황애장사 : 황아장사. 담배쌈지, 바늘, 실 따위의 잡다한 물건을 지고 집집이 찾아다니며 파는 사람. 5) 연집게 : 연지를 가리키나 뒤에 나오는 쪽집게 때문에 집게라는 말이 붙은 듯함. 6) 남한사라. 남한선산을 뜻한다고 하나 남한산성의 와전인 듯. 7) 봉토지 : 봉투지. 8) 지화 한장(紙貨 一張). 9) 다래 : 목화의 열매. 10) 다래 밑이 되았구나 : 다래 뿌리가 벋었구나. 11) 올기 서산에 : (뜻 모름). 12) 왹양목 → 옥양목(玉洋木) : 생목보다 발이 고운 무명의 피륙. 13) 귀볼 : 볼. 버선의 밑바닥 앞뒤에 덧대는 헝겊 조각. 14) 단초롱 : 남초록(藍草綠)인 듯. 15) 한양의 춤 : 한량의 첩의 와전인 듯. 16) 진단 : (뜻 모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