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굴려라 굴려라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성군 북하면 월성리 연동의 굴려라 굴려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임영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임영택 |
지역개관 | 연동마을은 장군봉 송대봉 병풍산으로 이어지면서 담양군과 경계를 이루는 산맥의 서쪽 기슭에 자리잡았다. 연동(嚥洞)이라는 지명은 마을 뒷산이 제비형국과 같다하여 붙혀진 이름이라 하며, 마을 입구가 산과 산이 맞닿아 흡사 문을 닫아 놓은 것 같다 하여 두문동(杜門洞)이라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산골짜기로 길게 뻗은 계곡가로 친칭이보 개안보 장사미보 등의 비옥한 농지가 있어서, 총 38가구가 농사를 짓고, 주변산에서 토종꿀을 생산하거나 조림 풀베기 가지치기 같은 노역작업을 하여 소득을 올리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21일에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월성리 연동에서 채집한 굴려라 굴려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영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명절날 부녀자들이 모여 강강술래처럼 뛰고 놀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제보자 임영택씨가 어렸을 적 여자들과 많이 어울려 놀았기 때문에 이런 노래를 알게 되었다고 한다. |
가사 | 굴려라 굴려라
실실 굴려라 오기 사살이 굴려라 동당이새 동당이새 옥양도1) 상보신 옥양도 상보신 동전의2) 속곳을 못 올리고 호장3) 한나 걸기도 두냥 반이 덜었네4) 남끝동5) 한 달기도 두냥 반이 덜었네 초록 초록 난초록6) 초록 초록 난초록 배추지7) 배추지 정상도 배추지 초쳤는가 장쳤는가 한량의 밥상에 다 오르네 머리 머리 참머리 감투같은8) 참머리 잠을 재와 잠을 재와 멸지름에9) 잠을 재와 못 디려 못 디려 공단 댕기를 못 디려 머리빗 탕탕 내리빗고 사람의 간장을 다 뇍인가 자방침10) 자방침 오리고 내리고 자방침 자방침에 진11) 보신 너나 신고 공부해라 놀러가세 놀러가세 월산이 집이로 놀러가세 월산이는 간대 잡고12) 이 줄 잡고 낭창 저 줄 잡고 낭창 윳집13) 큰애기 시집갈 때 꼬두밥이나14) 알아보세 유리병에 술 한 병 땅에 뻗은 땅까시15) 옴질옴질 놀아보세 발 자랑해 발 자랑해 보신 신고 발 자랑해 손 자랑해 손 자랑해 장갑 찌고 손 자랑해 몸 자랑해 몸 자랑해 각두 찌고16) 몸 자랑해 꽃네야 꽃네야 박꽃네야 어덕밑에17) 박꽃네야 니 임재 어따 두고 발통기만18) 잡었더냐 목포 살짝 내리서서 오환짜리 다비19) 신고 십환짜리 구두 신고 남색 책보 옆에 찌고 붉은 연필 입에 물고 다 닳아져 다 닳아져 산술 공부가 닳아져 오동에 꼴랑기20) 세모시난다 방개 둥당애 둥당이새 1) 옥양도 → 옥양목(玉洋木) : 생목보다 발이 고움. 2) 동전 → 동정 : 섶에 덧대어 목을 두르게 되는 흰 천. 3) 호장 : 저고리의 소매 끝, 깃, 곁대(곁막이), 고름 등에 단 색의 천을 대어 꾸미는 것. 4) 덜었네 : 들었네. 5) 남끝동 : 옷소매 끝에 남색 천을 따로 이어서 댄 동. 6) 난초록 → 남초록. 7) 배추지 → 배추김치. 8) 감투 → 감태(甘苔) : 김. 9) 멸지름에 : 머릿기름에. 10) 자방침 : 재봉틀. 11) 진 : 지은. 12) 간대 : (뜻 모름). 13) 윳집 : 이웃집. 14) 꼬두밥 : 된 밥. 혼례때는 시루에 밥을 찌므로 된 밥이 됨. 15) 땅가시 : 덩쿨 식물의 일종. 16) 각두 : 큰애기나 각시들이 치마 위에 두르는 허리띠. 17) 어덕 : 언덕. 18) 발통기 : 발동기. 19) 다비 : 양말. 20) 꼴랑기 : 꼬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