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량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기원의례요 > 건축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흥군 장동면의 상량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백남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백남수 |
지역개관 | 전남의 남해안에 위치한 장흥군은 3읍(장흥읍 관산읍 대덕읍) 7개면(용산면 안량면 장동면 장평면 유치면 부산면 회진면)으로 구성된다. 동쪽으로 보성군, 서쪽으로 강진군, 북쪽으로 화순군이 경계를 이루며, 북서쪽으로 영암군과 완도군, 그리고 보성만과 득량만을 사이에 두고 고흥군과 마주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1월 10일에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에서 채집한 보리타작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백남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집터다지는 소리처럼 이 상량소리에도 풍수지리와 관련된 사설이 자주 나온다. |
가사 | 얼럴럴 상량이야
얼럴럴 상량이야 천금 상량을 올려나 보세 얼럴럴 상량이야 올라간다 올라를 간다 얼럴럴 상량이야 천금상량이1) 올라를 간다 얼럴럴 상량이야 좌우청룡 백호로고나 얼럴럴 상량이야 노적봉이2) 비쳤으니 얼럴럴 상량이야 대대부자가 날 명당이로다 얼럴럴 상량이야 문필봉이3) 비쳤으니 얼럴럴 상량이야 대대문장이 날 명당이로다 얼럴럴 상량이야 부귀가 겹쳤으니 얼럴럴 상량이야 어찌 아니가 부귀로곤가 얼럴럴 상량이야 1) 천금 상량(千金 上樑) : 천금은 비싸거나 소중한 것의 비유. 상량은 마룻대 또는 마룻대를 올리는 일. 2) 노적봉(露積峯) : 노적가리처럼 생긴 봉우리. 3) 문필봉(文筆峯) : 붓처럼 생긴 봉우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