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새쫓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흥군 장흥읍의 새쫓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정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정심 |
지역개관 | 전남의 남해안에 위치한 장흥군은 3읍(장흥읍 관산읍 대덕읍) 7개면(용산면 안량면 장동면 장평면 유치면 부산면 회진면)으로 구성된다. 동쪽으로 보성군, 서쪽으로 강진군, 북쪽으로 화순군이 경계를 이루며, 북서쪽으로 영암군과 완도군, 그리고 보성만과 득량만을 사이에 두고 고흥군과 마주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1월 10일에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에서 채집한 새쫓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정심이 참여하였다. 벼가 무르익을 무렵이면 7, 8세 아이들이 어른들을 도와 자기집 논의 새떼를 쫓는다. 아이들은 막대기를 들고 논두렁가를 이리저리 뛰어 다니는가 하면, <새보는소리>를 하기도 한다. 이 노래를 부르면서 다리를 벌리고 몸을 숙였다, 폈다하는 동작을 한다. 상체를 숙이면서 손뼉을 치는데, 이때 노래 소절마다 힘이 들어간다. |
가사 | 우여와여 우여와여
웃녘 새야 아랫녘 새야 우리 논에 앉지 말고 놈의 논에 앉아 주라 우여와여 우여와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