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아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방아찧기 > 방아찧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방아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정심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정심 |
지역개관 | 전남의 남해안에 위치한 장흥군은 3읍(장흥읍 관산읍 대덕읍) 7개면(용산면 안량면 장동면 장평면 유치면 부산면 회진면)으로 구성된다. 동쪽으로 보성군, 서쪽으로 강진군, 북쪽으로 화순군이 경계를 이루며, 북서쪽으로 영암군과 완도군, 그리고 보성만과 득량만을 사이에 두고 고흥군과 마주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1월 10일에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에서 채집한 방아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정심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김정심 할머니가 어렸을 적에 듣고 자연스럽게 익힌 노래인데, 실제로 방아를 찧으며 불렀던 기억은 없다고 한다. 뒷소리는 잡가류의 흔한 방아타령이지만 메기는 소리는 실제로 디딜방아를 찧으며 부르던 노래와 같다. |
가사 | 허이 유화 방아야
허이 유화 방아야 이 방애가 누 방애 허이 유화 방아야 강태산이 조작방애1) 허이 유화 방아야 도토리껍덕 호악에다2) 허이 유화 방아야 된담넝쿨3) 줄에다 허이 유화 방아야 쟁인 쟁모도4) 당거라 허이 유화 방아야 처남의 댁도 당거라 허이 유화 방아야 지락 것도5) 당그자 허이 유화 방아야 울레꿀레 당그자 허이 유화 방아야 보리쌀 뜬물에 호박국 낋에서 허이 유화 방아야 우리 방에꾼 배천궁하세6) 허이 유화 방아야 허이 유화 방아야 허이 유화 방아야 산이로 올라 산중방아 허이 유화 방아야 들로 내러 드들방아 허이 유화 방아야 강태공의 조작방아 허이 유화 방아야 덜그렁 덜그렁 자주자 찧는다 허이 유화 방아야 낮으로는 만석 찧어 허이 유화 방아야 나라군량 하잔다네 허이 유화 방아야 허이유화 방아야 허이 유화 방아야 쟁인장모 당거주소 허이 유화 방아야 처남남매도 당거주소 허이 유화 방아야 지집 책것은7) 쓸어넣소 허이 유화 방아야 덜그렁 덜그렁 자주나 찧는다 허이 유화 방아야 어이 유화 방아야 허이 유화 방아야 1) 강태산이 조작방애 : 강태공의 힘을 빌어 목신(木神)을 누른다는 뜻에서 나온 말. 2) 도토리껍덕 호악에다 : 도토리껍질처럼 오목하게 생긴 확(절구통). 3) 된담넝쿨 : 산에서 자라는 넝쿨식물. 4) 쟁인쟁모 → 장인장모. 5) 지락 것도 : 지(저)란 것도. 즉 자기. 6) 배천궁 하세 : 배불리 먹세의 뜻. 7) 지집 책것은 : 계집 잡것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