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흥글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흥군 장흥읍의 신세타령-흥글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정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정심 |
지역개관 | 전남의 남해안에 위치한 장흥군은 3읍(장흥읍 관산읍 대덕읍) 7개면(용산면 안량면 장동면 장평면 유치면 부산면 회진면)으로 구성된다. 동쪽으로 보성군, 서쪽으로 강진군, 북쪽으로 화순군이 경계를 이루며, 북서쪽으로 영암군과 완도군, 그리고 보성만과 득량만을 사이에 두고 고흥군과 마주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1월 10일에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에서 채집한 흥글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정심이 참여하였다. 신세타령을 담은 흥글소리는 전남민요 뿐아니라 우리 민요 전체에서 가장 비감이 짙은 민요 가운데 하나라고 할 만하다. 슬픈 사설과 서늘하게 내려 앉는 곡조가 어울러져 섬짓한 느낌조차 준다. 강강술래로 분출되는 신명의 반대편에는 이런 노래의 흐느낌이 있어서 이 지역 여성민요가 지닌 정서의 넓은 폭을 느낄 수 있다. |
가사 | 어매어매 우리 어매
베를 나서1) 놈을 주제 딸을 나서 놈줬는가 말도 많고 일도 많네 우리 어매 날 설 적에 고부노물을2) 원했든가 고부고부 서런 정아 턱석 고부 안었든가3) 구부 구부 서런 정아 죽신노물4) 원했든가 매두매두5) 서런 정아 소부당으로 자리 잡듯6) 텁석텁석 날 여웠는가 호박박도 재비봐서7) 숭군다네8) 1) 베를 나서 : 베를 낳아서. 낳다는 피륙을 짜다. 2) 고부노물 : 고비나물. 3) 턱석 고부 앉었던가 : 턱석은 덕석(멍석과 비숫하나 그보다 거침)이며 덕석고비나, 고부 앉는다는 뜻은 모름. 4) 죽신노물 : 죽순나물. 5) 매두매두 : 마디마디. 6) 소부당으로 자리 잡듯 : 솥뚜껑으로 자라 잡듯. 7) 재비봐서 : 자리봐서의 와전. 8) 숭군다네 : 심는다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