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가래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흥군 관산읍의 무덤가래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백채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백채호 |
지역개관 | 전남의 남해안에 위치한 장흥군은 3읍(장흥읍 관산읍 대덕읍) 7개면(용산면 안량면 장동면 장평면 유치면 부산면 회진면)으로 구성된다. 동쪽으로 보성군, 서쪽으로 강진군, 북쪽으로 화순군이 경계를 이루며, 북서쪽으로 영암군과 완도군, 그리고 보성만과 득량만을 사이에 두고 고흥군과 마주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1월 9일에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에서 채집한 무덤가래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백채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가래질로 분묘의 흙을 퍼올리면서 하는 노래이다. 노동요이면서도 망인의 분묘를 잘 지어 명복을 빌어 주는 의식으로서의 요소가 결합돼 있다. |
가사 | 에히여라 가로
어히여라 가로 이 흙짐을 어서 져다가 어히허라 가로요 둥그렇게 봉뫼를 무어라1) 어히허라 가로요 헤헤라 가로 어허라 가로 일락서산으 해 떨어지고 어히허하 가로 월출동산에 달 무어온다2) 어히허하 가로 에야 헤라 가로 어히어라 가로 가래야 가래야 나무가래로구나3) 어히허라 가로 곡괭이꾼을 땅에 파주고 어히허라 가로 삽가래군은4) 흙짐을 지어라 어히허라 가로 이 봉뫼를 어서 지어 어히허라 가로 끝을 지고 집이를 가세 허이혀라 가로요 에이헤라 가로 어이혀라 가로 죽장망혜 단표자는5) 어허여라 가로요 천리강산을 언제 갈끄나 어이여라 가로요 에야 헤라 가로 어이 허라 가로 1) 봉뫼를 무어라 : 봉분(封墳)을 만들어라. 2) 달 무어온다 : 달 솟아온다. 3) 나무가래 : 바탕되는 판이 나무로 된 보통 가래. 4) 삽가래 : 바탕되는 판이 쇠로 이루어진 가래. 5) 죽장망혜 단표자(竹杖芒鞋 單瓢子) : 대나무 지팡이와 미투리, 한 개의 표주박. 즉 간단한 차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