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절로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의 논매는소리-절로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공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공례 |
지역개관 |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는 150여 가구가 모여 사는 독치에는 서편 마닥거리 아랫동네 같은 조그만 마을들이 있고, 터골 은진물 큰골이라 불리우는 들이 펼쳐져 있는데, 이곳에서 마을사람들은 예전부터 농업을 주로 했다. 논보다 밭이 많아 예전에는 보리 콩 서숙 미영 등을 주로 재배하였으나, 지금은 논으로 많이 개간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26일에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에서 채집한 절로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공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늦은소리>는 논매는 소리 중 가장 느린 곡으로, 요즘들어 진양장단에 맞는다하여 <진양조>라 일컫기도 한다. 선가름, 초벌매기에 주로 부른다. <중간소리>는 두벌 논매기 때 부르는 소리로 중모리 장단이다. <잦은소리>는 세벌매기인 만드리 때 부르는 소리이다. 대농가집의 경우 풍물이 동원되어 소리의 흥을 돋구기도 해 <풍장소리>라 부르기도 한다. 중중모리 장단이다. |
가사 | <긴절로소리>
(후렴) 이히야아하 아하헤헤헤 하절로오호 노호야 이히야아하 아하헤헤헤헤 하절로오호 노호야 어뜬 사람 팔자가 좋아 부귀영화로 잘 사는데 우리같은 인간들은 무슨 팔자로 이라는가 <중절로소리> (후렴) 이야아 아하아 아아하아 아하아 하절로 노노야 이야아 아하아 아아하아 아하아 하절로 노노야 갈 제 보고 올 제 보고 두 번만 보면 정 많이 든다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임을 따라 내가 돌아를 간다 날 따라라 날 따라라 멀리 멀리 나 따라 오게 <자진절로소리> (후렴) 아하아 아하아 아하하아하아 에헤헤에헤야 절로 아하아 아하아 아하하아하아 에헤헤에헤야 절로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임을 따라서 나는 간다 신 철철 끄스면1) 오신다더니 모두굴로2) 뛰어도 아니 오네 팔랑에 팔랑 수갑사3) 댕기 꺼적문 안에서 날 속이네4) 명사십리 해당화야 니 꽃이 진다고 서러마라 절로 절로 해남 한등사5) 절로 잘 맞는다 잘 맞는다 누리 제군들이 다 잘 맞네 1) 끄스면: 끌면. 2) 모두굴로: 모듬발로. 3) 수갑사: 수 놓은 갑사. 4) 팔랑에 팔랑~날 속이네: 거적문 안에서 언뜻 언뜻 보이는 처녀 댕기가 보는 이의 마음을 어지럽힌다는 뜻. 5) 한등사: 해남 대흥사의 다른 이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