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아타령/매화타령/도화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의 밭매는소리-방아타령 · 매화타령 · 도화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89092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진도군 |
생산지역 상세 | 지산면 인지리 독치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5 , 밭매는소리 , 방아타령·매화타령·도화타령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전라남도 , 전남 , 진도군 , 1989 , 1993 , 방아타령/매화타령/도화타령 , 조공례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조공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공례 |
지역개관 |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는 150여 가구가 모여 사는 독치에는 서편 마닥거리 아랫동네 같은 조그만 마을들이 있고, 터골 은진물 큰골이라 불리우는 들이 펼쳐져 있는데, 이곳에서 마을사람들은 예전부터 농업을 주로 했다. 논보다 밭이 많아 예전에는 보리 콩 서숙 미영 등을 주로 재배하였으나, 지금은 논으로 많이 개간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26일에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에서 채집한 방아타령/매화타령/도화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공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목화밭을 매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염장>은 처음 부르는 서곡(序曲)에 해당하는데, 느린 징양장단에 맞는다. <매화타령>은 유랑예인(流浪藝人)집단이었던 초랭이패가 부르던 노래라 하며, 놀 때나 밭맬 때 두루 불렀다. <방애타령>은 디딜방아 찔 때나 놀 때 또는 밭을 매면서 부르던 노래로 가락이 흥겹다. <도화타령>역시 초랭이패들이 부르던 노래이며, <잦은방아타령>은 일명 <꽃방아타령>이라고도 한다. 디딜방아에 서속을 바삐 찧으면서, 또는 밭을 매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
가사 | <염장>
제나나 해도 산이로고너 제나나 해도 산이로고너 병이 났네 병이 났네 시살물레1) 병이 났네 제나나 해도 산이로고너 고동가락2) 병난 데는 참지름이 약이라네 헤에 제나나 해도 산이로고너 <매화타령> 어리시고나 좋단 말이다 매화로고나 은잔자리3) 졌단다 돈이로고나 계화를4) 이리저리 설려버리고5) 매화야 내 돈 갖다 먹어라 간다네 간다 나는 간다 돈 받으러 나는 간다 은잔자리 졌단다 돈이로고나 계화를 이리저리 설려버리고 매화야 내 돈 갖다 먹어라 나비여 나비여 호랑나비여 청산으로 가다 가다가 날이 저물어지믄 꽃속에서 잠을 자고 가거라 은잔자리 졌단다 돈이로고나 계화를 이리저리 설려버리고 매화야 내 돈 갖다 먹어라 <방애타령> 에헤용 에헤용 허라 우겨라6) 방애로고나 나지나 얼싸 좋네 요나리방애로7) 논다 에헤용 에헤용 어라 우겨라 방애로고나 나지나 얼싸 좋네 요나리방애로 논다 노자 좋다 노들메 강변에8) 비둘기 한쌍이 울콩9) 한나를 물어다 놓고 암놈이 물어서 쑥놈을10) 주고 쑥놈이 물어서 암놈 주고 암놈 쑥놈 어우는 소리 동네 청춘과부가 지둥만 보듬고 돈다 에헤용 에헤용 어라 우겨라 방애로고나 나지나 얼싸 좋네 요나리방애로 논다 요놈의 집구석 될랑가 말랑가 함박 쪼박이 요동을 하고 나막신이 굴레심 돋고11) 반침12) 밑에 갱아절 할 놈이13) 투전골패만 하누나 에헤용 에헤용 어라 우겨라 방애로고나 나지나 얼싸 좋네 요나리방애로 논다 울 넘어든다 덤 넘어든다 이웃집 총각이 울 넘어든다 문고루14) 달랑 개는 껑껑 요강 대우는15) 장단을 치고 이불귀 장단에 눈웃음 친다 에헤용 에헤용 어라 우겨라 방애로고나 나지나 얼싸 좋네 요나리방애로 논다 줏었네 줏었어 돈주마니를 줏었네 일패싹16) 금매탑17) 공비단 주마니에 가은전이 담뿍 들었네18) 에헤용 에헤용 어라 우겨라 방애로고나 나지나 얼싸 좋네 요나리방애로 논다 <도화타령> 에헤헤 도화로다 어야라뒤야 어허야라뒤야 에헤헤 도화로다 에헤헤 도화로다 어야라뒤야 어허야라뒤야 어허허 도화로다 얄굽드라19) 얄굽드라 삼막골20) 큰애기들이 얄굽드라 시집가기 전에 아새끼를 나서 애기 압씨를21) 찾을라고서 관례청으로 냉게 부렀네 에헤헤 도화로다 어야라뒤야 어허야라뒤야 어허허 도화로다 빡빡 얽고 머리 한나도 없는 년이 함박 쪽박을 되잡아 씨고서 괴샅22) 담박질을23) 쳤네 에헤헤 도화로다 어야라뒤야 어허야라뒤야 어허허 도화로다 추아다보느냐24) 만학은 천봉25) 내리굽어 살펴보니 백사지26) 땅이로고나 에헤헤 도화로다 어야라뒤야 어허야라뒤야 어허허 도화로다 산천초목에 속잎이 난데 구경하기가 내가 즐검이27) 난단 말이다 에헤헤 도화로다 어야라뒤야 어허야라뒤야 어허허 도화로다 <잦은방아타령> 어헝 어허엉 어허엉 어허엉 어허야 어널럴 거느리고 방애흥애가 논다 어헝 어허엉 어허엉 어허엉 어허야 어널럴 거느리고 방애흥애가 논다 초지녘 방애는 찔만 해도 새벽에 방애는 나는 못찧겄네 어헝 어허엉 어허엉 어허엉 어허야 어널럴 거느리고 방애흥애가 논다 영감에 홍감에 떡받어 먹게 방애품을 들어다가 재개떡을28) 했네 어헝 어허엉 어허엉 어허엉 어허야 어널럴 거느리고 방애흥애가 논다 일년에 열두 달 놈의 집을 살아서 청초마29) 밑에다 다 떨어옇네 어헝 어허엉 어허엉 어허엉 어허야 어널럴 거느리고 방애흥애가 논다 동호박30) 동호박31) 통세 너메 동호박 은장두 드는 칼로 닐리리꼭지를 돌려라32) 어헝 어허엉 어허엉 어허엉 어허야 어널럴 거느리고 방애흥애가 논다 아서라 놓아라 나는 못 놓겄네 모도리 상투가33) 열댓 발 빠져도 나는 못 놓겄네 어헝 어허엉 어허엉 어허엉 어허야 어널럴 거느리고 방애흥애가 논다 1) 시살물레 : 살이 성긴 물레. 보통 물레는 살이 8개이나 시살물레는 살이 6개임. 2) 고동가락 : 고동과 가락. 가락은 고치솜에서 풀려나오는 실을 감는, 양쪽이 뾰족한 쇠꼬챙이이며 고동은 물레가락의 윗몸에 끼워 붙박아 둔 두 개의 매듭같은 물건. 3) 은잔자리 → 은전(銀錢)자루. 4) 계화 : 지화(紙貨)의 와전인 듯. 5) 설려버리고 : 흩어버리고. 6) 우겨라 : (흩어져 나오는 곡식을) 집어 넣어라. 7) 요나리방애 : 디딜방아. 8) 노들메 강변 : 노들강변. 9) 울콩 : 주로 울안 담장밑에 심는 납작한 콩. 10) 쑥놈 : 수놈. 11) 굴레심 돋고 : 굴레수염 돋고. 굴레수염은 구레나룻. 12) 반침 : 큰 방 옆에 붙여 만들어 물건을 넣어두는 작은 방. 13) 갱아질할 놈이 : 강아지란 놈이. 14) 문고루 : 문고리. 15) 대우 : 대야. 16) 일패싹 : 고추 잎사귀. 17) 금매답 : 검은 매듭. 고추나무의 검은 마디를 가리킴. 18) 줏었네~들었네 : 씨가 꽉 찬 고추를 은전이 든 비단 주머니로 비유함. 19) 얄굽드라 : 얄궃더라. 20) 삼막골 : 진도에 있는 마을 이름. 21) 압씨 : 아버지. 22) 괴샅 → 고샅 : 골목. 23) 담박질 : 달음박질. 24) 추아다보느냐 : 쳐다보느냐. 25) 만학은 천봉 : 만학천봉(萬壑千峰), 수 많은 골짜기와 봉우리. 26) 백사지(白沙地) : 흰 모래가 깔려 있는 땅. 27) 즐검 : 즐거움. 28) 재개떡 : 세벌 찧은 보리가루인 재로 빚은 개떡. 29) 청초마 : 청치마, 또는 청치마를 입은 여자. 특히 기생. 30) 동호박 : 길다랗게 생긴 호박. 31) 통세 → 통시 : 변소, 뒷간. 32) 닐리리꼭지를 돌려라 : 나란히 늘어선 꼭지를 돌려 따라. 33) 모도리 상투 : 동곳으로 고정하지 않고 대충 빗어올린 상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