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어야보리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도군 조도면 소마도의 보리타작소리-어야보리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주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주대 |
지역개관 | 소마도는 진도의 남서쪽에 있는 섬이다. 소마도리에 집이 많았을 때에는 105호에 이르렀으나 지금은 34호밖에 없다. 이 가운데 20여호는 농사를 짓고, 나머지는 동력선과 전마선(노젓는 배)을 타고 각종 고기를 잡는다. 40년 전까지만 해도 연평바다에서 조기를 잡아 부촌(富村)이란 말을 듣기도 했으나 지금은 조기가 잡히지 않는다. 아직까지 때묻지 않은 인심에 노래를 즐겨, 지금도 들로 나가면 녹음기에다 육자배기라도 틀어놓고 일을 하는 곳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26일에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소마도에서 채집한 어야보리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주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소마도에서는 부녀자들이 도리깨질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단순한 작업형태에 비해서 도리깨질소리는 지역에 따라 꽤 다양하다. |
가사 |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보리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여그도 땔고1) 어야 보리야 저그도 땔고 어야 보리야 잘 때러주게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기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잘도 친다 어야 보리야 냉게 쳐라 어야 보리야 돌려치지 말고 어야 보리야 냉게나 쳐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늘보린가 어야 보리야 쌀보린가 어야 보리야 늘보리는 어야 보리야 잘도 떨어진다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다 쳐간다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다 쳤네야 어야 보리야 우리 보리 어야 보리야 다 쳤구나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어야 보리야 다 쳐버렀네 어야 보리야 1) 땔고 : 때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