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조기잡이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대표어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도군 조도면 소마도리의 [조기잡이] 조기잡이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890929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진도군 |
생산지역 상세 | 조도면 소마도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5 , [조기잡이]조기잡이소리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대표어업 , 전라남도 , 전남 , 진도군 , 1989 , 1993 , 조기잡이소리 , 김주대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김주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주대 |
지역개관 | 소마도는 진도의 남서쪽에 있는 섬이다. 소마도리에 집이 많았을 때에는 105호에 이르렀으나 지금은 34호밖에 없다. 이 가운데 20여호는 농사를 짓고, 나머지는 동력선과 전마선(노젓는 배)을 타고 각종 고기를 잡는다. 40년 전까지만 해도 연평바다에서 조기를 잡아 부촌(富村)이란 말을 듣기도 했으나 지금은 조기가 잡히지 않는다. 아직까지 때묻지 않은 인심에 노래를 즐겨, 지금도 들로 나가면 녹음기에다 육자배기라도 틀어놓고 일을 하는 곳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29일에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소마도리에서 채집한 조기잡이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주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닻배는 바다 가운데에 닻을 놓아 배를 고정시킨 뒤 어로작업을 하는 방식의 배를 말한다. 30여년 전 기계배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이 닻배를 탔다고 한다. <놋소리>는 노를 저으면서 부르는 노래로, <긴소리>와 <잦은소리>가 있다. <술바소리>는 출항하기 전 배에 그물을 실으면서 부르거나 어장에서 그물을 당기면서 부른다. <풍장소리>는 출항할 때나 어장에서 고기를 많이 잡았을 때 포구에 들어오면서 풍장을 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
가사 | <놋소리>
어기야 어기야 어기야 디야 어기야 앞산은 어기야 가까지고 어기야 뒤산은 어기야 멀어진다 어기야 어기야디야 어기야 어기야디야 우리는 어기야 무삼 죄로 어기야 죽은 나무 어기야 꺼꿀로 타고 어기야 이 고생이 어기야 웬 말이냐 어기야 어기야디야 어기야 당그여라1) 어기야 어기야디야 어기야 어기여라 어기야 오동추야 어기야 저 달이 발고 어기야 임의 생각 어기야 절로난다 어기야 어기야 디야 어기야 어기야라 어기야 그물코가 어기야 삼천이면은 어기야 걸릴 날이 어기야 있다드라 어기야 어기야디야 어기야 어기야라 어기야 십오야 어기야 밝은 저 달 어기야 은하수를 어기야 갈어입고 어기야 한양 계신 어기야 우리 부모는 어기야 우리 오기를 어기야 기다린다 어기야 어기야 디야 어기야 어기야라 어기야 엉차 엉차 어기야디야 어야차 어영차 … <술비소리>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술비로구나 어하 술비야 이 술배가 어하 술비야 어디를 갔다가 어하 술비야 때를 찾고 어하 술비야 철을 찾아 어하 술비야 또 다시 왔구나 어하 술비야 그물코가 어하 술비야 삼천이면은 어하 술비야 걸릴 날이 어하 술비야 있다더니 어하 술비야 우리네 망자에 어하 술비야 배꽃이 피었다2) 어하 술비야 오동추야 어하 술비야 저 달은 밝은데 어하 술비야 임 생각이 어하 술비야 절로난다 어하 술비야 어허 술비야 어하 술비야 술비로구나 어하 술비야 어허 술비야 어하 술비야 술비로구나 어하 술비야 화장아야3) 어하 술비야 술 걸러라 어하 술비야 우리 배 동사4) 어하 술비야 잘도 헌다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서산의 어하 술비야 지난 해를 어하 술비야 양유에다5) 어하 술비야 잡어매고6) 어하 술비야 걸린 저 달 어하 술비야 계수야7) 어하 술비야 머물러 놓고 어하 술비야 술비소리로 어하 술비야 세월을 보내자 어하 술비야 어허 술비야 어하 술비야 술비로구나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술비로고나 어하 술비야 어허 술비야 어하 술비야 호바를 지뤄라8) 어하 술비야 이물대9) 꼬작10) 어하 술비야 봉기를11) 지르고 어하 술비야 허릿대12) 꼬작 어하 술비야 장화13) 를 띄어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어하 술비야 <풍장소리> 돈실러 가자 돈실러 가자 영광 법성으로 돈실러 가자 허어 허어 허허요 어허 허으어 어허 허하 허어 허어요 뱃쥔 마누라 술동우 이고 발판 머리서 궁치춤14) 친구나 허어 허어 허허요 어허 허으어 어허 허하 허어 허어요 갈바람15) 불었다 갈바람 불었다 칠산바닥에16) 갈바람 불었다 허어 허어 허허요 어허 허으어 어허 허하 허어 허어요 칠산바닥에 들오는 조구는17) 우리네 망자로 다 들어온다 허어 허어 허허요 어허 허으어 어허 허하 허어 허어요 든물에18) 백만원 썬물에19) 백만원 안팍 두 물에 수백만 실었다 허어 허어 허허요 어허 허으어 어허 허하 허어 허어요 쥔네 마누라 술동우이고 발판 머리서 궁치춤 친구나 허어 허어 허허요 어허 허으어 어허 허하 허어 허어요 황해도 연평 구월산 밑에 봉상봉 큰애기들은 조구 따기가 처량이더라 허어 허어 허허요 어허 허으어 어허 허하 허어 허어요 쥔네 마누라 행조빠치마20) 어디서 났느냐 여기서 났구나 허어 허어 허허요 어허 허으어 어허 허하 허어 허어요 이물대 꼬작에 봉기를 질리고 허룻대에 장화를 띄었네 허어 허어 허허요 어허 허으어 어허 허하 허어 허어요 돛배집 마누라 술동우 이고 발판 머리서 궁치춤 치었네 허어 허어 허허요 어허 허으어 어허 허하 허어 허어요 돈 실러가자 돈 실러가자 연평바다로 돈 실러가자 허어 허어 허허요 어허 허으어 어허 허하 허어 허어요 1) 당그여라 : 당기어라. 2) 우리네~되었다 : 망자, 즉 그물에 조기가 하얗게 걸린 모습을 말함. 조기의 색깔이 조금때는 하얗게, 사리때는 노랗게 됨. 3) 화장아이(火匠-) : 화장아이야. 화장은 배에서 밥짓는 일을 맡아보는 사람으로 대개 나이가 어림. 4) 동사 : 함께 일하는 사람. 5) 양유(楊柳) : 버드나무. 6) 동정(東頂) : 동쪽 산마루. 7) 계수야(桂樹-). 8) 호바를 지뤄라 : 호기를 질러라라는 뜻인 듯. 호기는 봉기. 9) 이물대 : 이물쪽에 세우는 돛대. 10) 꼬작 : 돛대의 꼭대기. 11) 봉기(奉旗) : 이물대에 다는 깃발. 12) 허릿대 : 배의 뒷 부분에 세우는 가장 큰 돗대. 13) 장화 : 만선이 되었을 때 광목 1필을 반 정도 펴서 허릿대에 매달고 들어오는데 이를 장화라 함. 14) 궁치춤 : 궁둥이 춤. 15) 갈바람 : 서풍 또는 남서풍을 뱃사람들이 이르는 말. 갈풍. 16) 칠산바닥 : 칠산바다(七山-). 영광군 낙월도를 비롯한 일곱섬 부근의 바다. 17) 조구 → 조기. 18) 든물 : 민물. 19) 썬물 : 썰물. 20) 행조빠치마 : 행주치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