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실잣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길쌈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도군 군내면 세등리 장언의 실잣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소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소심 |
지역개관 | 세등리에는 장언마을과 세등마을이 있다. 장언마을은 면사무소로부터 남쪽으로 3㎞거리에 위치한다. 마을의 동쪽으로 장언저수지가 있고, 이 저수지의 가장자리 둘레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서쪽은 금골산, 남쪽은 상암재산이 자리잡고 있다. 북쪽은 간척지가 분포되어 있고, 1㎞떨어진 곳에 바다가 인접한다. 장언마을이 형성된 것은 불과 30여년밖에 안되며, 마을이 형성되기 전에는 마을 앞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염전을 하였던 곳이다. 그 후, 바다를 매립하여 만든 간척지 뜰과 육답에서 벼농사를 짓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0월 24일에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세등리 장언에서 채집한 실잣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소심이 참여하였다. 부녀자들이 물레질을 할 때는 갖가지 노래를 부르는데, 작업이 계속 이어지면서 이 노래처럼 한 가지 곡조에 여러 가지 내용을 잇달아서 부르는 경우가 많다. |
가사 | 엄매 엄매 우리 엄매
뭣할라고 날 밸 적에 토란나물을 즐겼던가 돌아갈수록 더 서럽네 엄매 엄매 우리 엄매 뭣할라고 날 밸 적에 까지노물 즐겼던가 갖가지로 더 서럽네 논에 가면 가래1) 웬수 밭에 가면 바라구2) 웬수 시 웬수를3) 잡아다가 마당 간데4) 닙혀놓고 밍천한5) 하나님네 베락이나 때립소사 물레야 때립소사 물레야 굴동아 뱅뱅 돌아라 백닥고추6) 손에 들고 시살물레7) 고동가락8) 뱅뱅 돌려 꼭두말9) 차두10) 잡고 미영도야 어서 어서 붙어서 자주 자주 빼어주면 우리 엄매 영개도 안 부를라네11) 1) 가래 : 가래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논이나 늪에서 자라는 잡초. 2) 바라구 → 바랭이 : 포아풀과에 딸린 한해살이풀로 밭이나 길가에 흔히 남. 3) 시 웬수를 : 세 원수를. 4) 마당 간데 : 마당 가운데. 5) 밍천한 : 명철한인 듯. 6) 백닥고추 : 흰 고치. 여기서 고치는 실을 뽑기 위해 솜을 흰 떡가래만하게 만 것. 7) 시살물레(細-) : 살이 성긴 물레. 보통 물레는 살이 8개인데 이 물레는 6개임. 8) 고동가락 : 고동과 가락. 가락은 고치솜에서 풀려 나오는 실을 감는 양쪽이 뾰족한 쇠고챙이이며 고동은 가락의 윗몸에 끼워 붙박아 둔 두 개의 매듭같은 물건. 9) 꼭두말 → 꼭두머리 또는 꼭지머리 : 물레 따위의 손잡이. 10) 차두 → 자루. 11) 영개도 안 부를라네 : 생각도 안 할라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