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남원산선 도적이야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강강술래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도군 의신면 돈지리의 남원산선 도적이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89092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진도군 |
생산지역 상세 | 의신면 돈지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6 , 남원산선도적이야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강강술래노래 , 전라남도 , 전남 , 진도군 , 1989 , 1993 , 남원산선 도적이야 , 박색구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박색구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색구 |
지역개관 |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돈지리는 면소재지가 위치한 돈지리에는 향교, 돈지 두 마을이 모여 있다. 마을 북동쪽에는 강선암산, 남쪽에는 천마산이 에워싸고, 마을 앞은 의신포로 빠지는 우황천이 흐른다. 350여호의 주민들은 상업과 농업을 주로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26일에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돈지리에서 채집한 남원산선 도적이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색구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강강술래와 같이 부녀자들이 서로 손을 잡고 돌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이 마을 향토민속학자인 허옥인씨는 “남한산선 도적이야”의 뜻을 “남한산성 도척(南漢山城盜跖)으로서, 병자호란 이후 남한산성을 새로 신축하거나 개축하지 못하게하는 청나라에 대한 적개심을 효종(孝宗)이 일반 백성들에게 심어주기 위해 퍼뜨린 노래”라고 설명하나, 그 근거는 확실치 않다. |
가사 | 남원산선1) 도적이야
남원산선 도적이야 저 건네 잔솔밭에 남원산선 도적이야 저 꾸엉2) 울음 운다 남원산선 도적이야 남원산선 도적이야 남원산선 도적이야 강 가운데 열녀나무 남원산선 도적이야 고패새가3) 앉어 우네 남원산선 도적이야 우리덜도 아글 제는4) 남원산선 도적이야 저 새소리 따랐더니 남원산선 도적이야 어른님이 되아분께 남원산선 도적이야 저 새소리 못 딸겄네 남원산선 도적이야 남원산선 도적이야 남원산선 도적이야 붕에 붕에 굼붕에는 남원산선 도적이야 새끼붕에 세5) 를 물고 남원산선 도적이야 설죽6) 밑에 들어가고 남원산선 도적이야 저그 가는 공각시는7) 남원산선 도적이야 임의 폴을8) 정으로비고 남원산선 도적이야 이불짓 밑에 들어가네 남원산선 도적이야 우리같은 아그들은 남원산선 도적이야 엄매 폴을 정으로 비고 남원산선 도적이야 이불짓9) 밑에로 들어가네 남원산선 도적이야 남원산선 도적이야 남원산선 도적이야 꽃놓았다 신을 신고 남원산선 도적이야 나부 앉인 책을 들고 남원산선 도적이야 임 자는 방에 들어가니 남원산선 도적이야 불일랑은 아니 써고 남원산선 도적이야 나를 잡고 희롱하네 남원산선 도적이야 남원산선 도적이야 남원산선 도적이야 창밖 꽥꽥 그 누군가 남원산선 도적이야 문밖 꽥꽥 그 누군가 남원산선 도적이야 전에 보던 저 님이세 남원산선 도적이야 전에 보던 저 님이는 남원산선 도적이야 무슨 일로 오겼는가 남원산선 도적이야 묵은 밭을 새로 갈아 남원산선 도적이야 종자10) 보자 내가 왔네 남원산선 도적이야 동지게다 대를 밀먼11) 남원산선 도적이야 허허 우스운 말씀이세 남원산선 도적이야 쪽제비에 굴레 짜믄12) 남원산선 도적이야 낯이 없는13) 말씀이세 남원산선 도적이야 청춘이 가련해도 남원산선 도적이야 쓸데없는 말이로다 남원산선 도적이야 오던 질로 도상하게14) 남원산선 도적이야 남원산선 도적이야 남원산선 도적이야 돌았다고 도랏노물15) 남원산선 도적이야 뛰었다고 뛴지노물16) 남원산선 도적이야 어석버석 콩노물은 남원산선 도적이야 늙은이 간장 다 뇍이고 남원산선 도적이야 희낏 해낏 녹두노물 남원산선 도적이야 늙은이 상으로 다 오르고 남원산선 도적이야 울긋불긋 싱대17) 대가리 남원산선 도적이야 갱아지18) 간장 다 뇍인다 남원산선 도적이야 1) 남원산선 도적이야 → 남한산성 도적이야 : 병자호란 때 인조가 청에 굴복한 사실(史實)을 뜻한다고 하는 후렴구. 2) 꾸엉 → 꿩. 3) 고패새 : 새의 이름인 듯. 4) 아글 제는 : 아그일 제는, 아기일 제는. 5) 세 : 혀. 6) 설죽 → 석죽 : 돌로 쌓은 둑. 7) 공각시 : 고운 각시. 8) 폴을 : 팔을. 9) 이불짓 : 이불깃. 10) 종자(種子) : 씨. 11) 동지게다 대를 밀먼 → 종지에다 테를 매면 : 종지는 간장 따위를 담는 작은 사기그릇. 테는 그릇 따위의 물건 의 몸을 단단히 둘러메는 줄. 12) 족제비에 굴레 짜믄 : 족제비에게 (마소따위에 씌우는)굴레를 잡아매면. 13) 낯이 없는 : 마음에 미안하고 부끄러워 대할 면목이 없는. 14) 도상하게 : 도망가게. 15) 도랏노물 : 도라지 나물. 16) 뛴지노물 : 들에서 나는 나물의 일종. 17) 싱대 : 생선의 일종. 단단해서 먹기 힘들고 맛이 없음. 18) 갱아지 : 강아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