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진도아리랑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의 진도아리랑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공례 외 4명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조공례 외 4명 |
지역개관 | 150여 가구가 모여 사는 독치에는 서편 마닥거리 아랫동네 같은 조그만 마을들이 있고, 터골 은진물 큰골이라 불리우는 들이 펼쳐져 있는데, 이곳에서 마을사람들은 예전부터 농업을 주로 했다. 논보다 밭이 많아 예전에는 보리 콩 서숙 미영 등을 주로 재배하였으나, 지금은 논으로 많이 개간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0월 23일에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에서 채집한 진도아리랑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공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진도에서 발생된 민요로 강원도의 <정선아리랑>, 경상도의 <밀양아리랑>, 서울지역의 <본조아리랑>과 함께 전국적으로 널리 불리고 있는 전라도 지역의 대표적인 민요 중의 하나이다. 작곡자가 진도출신이자 젓대(대금)의 명인인 박종기라는 설이 있다. |
가사 | (후렵)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오다가 가다가 만나는 님은 폴목이1) 끊어져도 나는 못 놓겄네 울 너메 총각은 절대야 소리 물질는 큰애기가 한숨이로고나 십오야 밝은 달 구름 속에서 놀고 이십 안짝 새 큰애기 내 품속에서 논다 저 건네 저 가시나 엎우러져라 일세나 주는 떼끼2) 보듬어나 보자 춥냐 더웁냐 내 품안으로 들어라 비개가 높고 야차면3) 이내 팔을 비고 허리똥4) 늘어지고 가느쪽쪽한 큰액아 앞동산 좁은 질로 날만 찾아 오너라 치매끈 잘라매고 논 샀더니 물 좋고 밭 좋은 데로 신작로가 난다 신작로 난 일도 내 원통한데 지도비 무라는5) 고지서가 나왔네 저 건네 저 가시나 앞가심 보아라 연출없는6) 호박이 두 통이나 열었네 만주야 봉천은 얼마나 좋아 꽃과 같은 날 버리고 만주 봉천을 가는가 일본아 대판아 다 무너져라 육로로 걸어서 임 찾아 가자 신작로 복판 안에 솥 때는 저 사람 임의 정 떨어진 데는 못 때워주요 육칠월 장마에 삼천게7) 뜨고 이내야 수단에는 큰애기 몸이 동당 떴네 십오야 밝은달 흔8) 양산 받고 아장아장 걸는 것이 갈보로구나 울타리 밑에서 깔 비는9) 총각 눈치만 채고서 떡 받어 먹게 떡은 받어서 망태에 담고 눈치만 채고서 날 따라오게 1)폴목이: 팔목이. 2)일세나 주는 데끼: 일으켜 주는 듯이. 3)야차면: 얕으면. 4)허리똥: 허리통. 5)무라는→물라는. 6)연출: 넝쿨. 7)삼천게: 게의 일종. 8)흔→흰. 9)깔 비는→꼴 베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