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각설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도군 의신면 돈지리의 각설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색구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색구 |
지역개관 | 면소재지가 위치한 돈지리에는 향교, 돈지 두 마을이 모여 있다. 마을 북동쪽에는 강선암산, 남쪽에는 천마산이 에워싸고, 마을 앞은 의신포로 빠지는 우황천이 흐른다. 350여호의 주민들은 상업과 농업을 주로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26일에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돈지리에서 채집한 각설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색구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노래에 소질이 있는 소리꾼들은 무슨 노래든 한 번만 들으면 노래를 익혔다고 한다. 박색구할머니도 그 가운데 한 분이다. |
가사 | 어 영덕에 씨러졌네
상야 마누나 들어봐 우리나라 금상님1) 만백성을 거느리고 춤을 치구 나룬다2) 설이 설이 각설이 얻어나 묵든 각설이 요놈의 소리를 들어봐 간만에 설설3) 다 놓고 성중4) 아짐씨 들으먼 깨소금단지로 알어도 촌아짐씨가 들으먼 중딩이5) 살살 녹는다 튀전에 육문을 디려라6) 일자를 한장을 들고봐 이천서 북을 치니 천징에7) 기생에 발림해8) 이짜 한장을 들고봐 일월에 송송9) 한밤중에 밤중 새별이 완연해 삼자를 한장을 들고봐 삼십 설운 강태공은 곧은 낙수를 물에 넣고 고기 오기를 지달려 사자를 한장을 들고봐 사신 행차 바쁜 길에 쉬는 데가 여그로다 오자를 한 장을 들고봐 오관의 청정10) 관운장은11) 적토마를 집어타고 전장 소식을 묻는다 유자를 한장을 들고봐 육환대사 성진이는 팔심이 다리고 희롱해12) 칠짜를 한 장을 들고봐 이칠에 저칠에 달머리13) 혹진에 날개 한날개14) 성중각시 노루개 팔자를 한장을 들고봐 팔십 설운 강태공은 곧은 낚수를 물에다 넣고 고기 오기를 지달려 구자를 한장을 들고봐 구곡간장15) 설운 눈물이 요내 눈에 솟아나 남었네 남었네 장자 한장이 남었네 장안광대는 박광대 광대중에는 수광대 요늠의 것이 또 있나 1) 금상님(今上-) : 현재 왕위에 있는 임금인 금상을 높여 부르는 말. 2) 나룬다 : 내려온다의 준말. 3) 간만에 설설 : 간장이 설설의 와전인 듯. 4) 성중(城中) : 성안. 5) 중딩이 → 중동이 : 중동은 사물의 중간 부분. 6) 튀전에 육문을 디려라 → 투전에 육목을 들여라 : 투전 한벌을 의미하는 투전목에는 진도목과 육지목이 있는데 투전육목은 투전의 육지목의 준말. 7) 천징에 : 천지에의 와전. 8) 발림 : 노래를 부르면서 하는 무용적 동작.. 9) 일월에 송송 → 일월(日月) 이 송송 : 해와 달이 초랑초랑 함. 10) 오관의 청정 → 오관(五關)의 참장(斬將) : 오관은 관우가 조조의 진중을 떠나 유비를 찾아가는 도중 육장(六 將)의 목을 벤 다섯 개의 관문. 11) 관운장(關雲長) :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장수로 유비, 장비 등과 의형제를 맺음. 12) 육환대사~희롱해 : 고전소설 「구운몽」에 나오는 육관대사, 성진, 팔선녀를 각기 이르는 말. 13) 달머리 → 달무리. 14) 흑진에 날개 한 날개 : 모름. 투전의 일곱 번째 패에 나오는 그림에 대한 묘사인 듯. 15) 구곡간장(九曲肝腸) : 굽이굽이 서린 창자라는 뜻으로 시름이 쌓이고 쌓인 마음속의 비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