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다시래기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숫자세기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의 다시래기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공례 외 4명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조공례 외 4명 |
지역개관 |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는 150여 가구가 모여 사는 독치에는 서편 마닥거리 아랫동네 같은 조그만 마을들이 있고, 터골 은진물 큰골이라 불리우는 들이 펼쳐져 있는데, 이곳에서 마을사람들은 예전부터 농업을 주로 했다. 논보다 밭이 많아 예전에는 보리 콩 서숙 미영 등을 주로 재배하였으나, 지금은 논으로 많이 개간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26일에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에서 채집한 다시래기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공례 외 4명이 참여하였다. 다시래기란 초상집에서 출상하기 전날 밥 상주들을 위로하기 위해 상두꾼들이 벌이는 놀이로서, 1985년에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81호로 지정된 바 있다. 다시래기에는 여러 가지 연극적인 놀이가 등장하는데, 그 중 대표적인 놀이가 봉사놀이이다. 다시래기놀이에 등장하는 노래 가운데 <염장>은 상두꾼들이 상여메는 도구를 만들면서, <개타령>과 <사당패노래>는 봉사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이 가운데 <개타령>은 원래 남녀 두명이 문답식으로 한 소절씩 나눠 번갈아 부른다. |
가사 | 아하하 아하하
나니래로허 니리래로고나 헤헤헤 아하 어디로 가자넘 좋다 좋다 에이시나 워리 개 사가게 개 사가게 돈 닷돈에 개 사가게 아하 헤헤야 개기개 개개야 기개개 개개야 기개기개 기개 개개 개개 서방님 무그대1) 평안히 가리오 오냐 나는 간다 너는 잘 있거라 이제나 가시면 어느 시절에 오리오 언제 올 줄을 나는 모르겄네 아이고 답답 아이고 답답 서런 정아 차마 서러 못 살으겄네 요놈의 노릇을 어찌 어찌 살까 앞냇가 버드나무 백포장2) 둘러치고 뒷냇가 버드나무 청포장3) 둘러치고 양유청청4) 버들속에 홀로 앉아서 우는 새는 임이 죽은 넋인가 날만 보면은 설리설리 운다 노승5) 노승 일어를 나소 노승 노승 일어를 나소 시살봉창6) 해 비쳤네 잠든 노승 일어를 나소 이히야 헤헤헤헤야 여리히 어허허허로고나야 아무리야 허허허도니가 내로고나 사당 마느라 미선7) 들고 마느라 머리끝에다가 법단댕기만8) 디레부려라 허라뒤야 어리씨구나 저리씨구나 방해가 내로고나 창칼을9) 쑥 빼보니 할절에 없는10) 용천에 검이로고나11) 허라뒤야 어리씨구나 저리씨구나 방해가 내로고나 1) 무그대 : 부디. 2) 백포장(百布帳) : (버드나무의)겨울철 죽은 잎파리가 모여서 만드는 포장. 3) 청포장(靑布帳) : (버드나무의)여름철 푸른 잎파리가 늘어서 이루는 포장. 4) 양유청청(楊柳靑靑) : 버드나무가 푸르고 싱싱함. 5) 노승(老僧). 6) 시살봉창(細 -封窓) : 아주 가늘게 만든 창살을 넣어 만든 봉창. 봉창은 여닫지 못하도록 봉한 창. 7) 미선(尾扇) : 부채 열끝을 공작 깃처럼 두 개의 원을 펼친 모양으로 공그른 부채. 8) 법단 : 비단의 한 가지. 감촉이 매우 부드러움. 9) 창칼 : 작은 칼이나 문맥에 맞지 않아 와전인 듯. 10) 할절에 없는 : 하릴없는, 분명한. 11) 용천에 검 → 용천검(龍泉劍) : 옛날 중국의 장수들이 쓰던 보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