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공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공례 |
지역개관 |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는 150여 가구가 모여 사는 독치에는 서편 마닥거리 아랫동네 같은 조그만 마을들이 있고, 터골 은진물 큰골이라 불리우는 들이 펼쳐져 있는데, 이곳에서 마을사람들은 예전부터 농업을 주로 했다. 논보다 밭이 많아 예전에는 보리 콩 서숙 미영 등을 주로 재배하였으나, 지금은 논으로 많이 개간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26일에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독치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공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조공례씨가 부르는 상여소리에는 관을 상여까지 운반할 때, 상여가 언덕으로 올라갈 때 부르는 <가난님보살>, 평지 운상소리인 <긴소리>, 상여가 좁은다리 건널 때 부르는 <천근소리>, 다리에서 놀면서 부르는 <나무아미타불>, 하직인사할 때 부르는 <하적이야>가 있다. 조공례씨는 20여년전 같은 마을에 사는 단골할머니에게서 상여소리를 전수받은 이후 상여소리 앞소리를 맡아 부르곤 한다. 7, 8년 전부터 이곳 진도에서는 조공례씨 외에도 여자들이 부쩍 상여소리 앞소리를 맡아 부른다고 한다. 이 자료는 1989년 9월 26일 지산면 관마리 장례식 현장에서 녹음한 것인데, 여기에는 <가난님보살>과 <긴소리>만 수록했다. |
가사 | <관운반소리>
(후렴) 가난님 보살 가난보살로 길을 닦아 생왕극락을1) 인도를 하세 악취무명원2) 쉬어가고 성취숙명원3) 쉬어를 가고 사십팔원에4) 쉬어가고 무타악도원5) 쉬어가고 가다 가다 저물어지믄 요내 염불로 길을 닦아 왕생극락을 인도하고 왕생이 머다는데 몇 달 걸어 극락을 가면 몇 날 걸어 극락을 갈거나 여보시오 시주님네 이내 말씀 들어보소 이 세상에 나온 사람 누 덕으로 나왔는가 석가여래 공덕으로 아버님전 뼈를 빌고 어머님전 살을 빌어 이내 일신 탄생하야 한두살에 철을 몰라 부모 은공을 못 갚으고 이삼십이 근근해도 어이없고 애닯구나 무정한 세월은 유수같이 원수백발이 돌아왔네 <운상소리> (후렴) 에에 에헤헤야 에헤 에헤 어허허야 못가겄네 안갈라네 차마 서러서 못 가겄네 내집을 두고는 못가겄네 삼천갑자 동방석은6) 삼천갑자를 살았어도 오날 가시는 금일 망제는 백년도 못 살았네 죽장산 가래송낙은 수양산의 넋이나 되여 암제 감실로 허옵실제 오날 가시는 금일 망제님 고장대7) 몸이 되고 피로장이에8) 넋이 되어 수족이 없이 오신다기로 옷 지어 용돗9) 놓고 보신10) 주어11) 배석12) 주어 야략잔치로13) 흠향을 한다 오날은 여그서 울고 불고 있다마는 어느 시절에 여그를 올꺼나 가시는 날은 안다마는 오만 날짜는 모른답니다 동서남북 간 데마다 형제같이 하고 갈까 오영방14) 깊이 들어 형제투정을 마자 하고 요내 염불로 길을 닦아 왕생극락으로 인도를 합니다 1)생왕극락→왕생극락(往生極樂). 2)악취무명원(惡趣無名願): 사십팔원의 하나. 3)성취숙명원(成就宿命願): 사십팔원의 하나. 4)사십팔원(四十八願): 불교에서 아미타불이 보살이었을 때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세웠다는 마흔여덟가지 서원(誓願). 5)무타악도원(無墮惡道願): 사십팔원의 하나. 6)동방석→동방삭(東方朔): 중국 한나라 때의 사람으로 삼천갑자, 즉 1800년을 살았다 한다. 7)고장대: 꼬챙이. 8)피로장이: 피로한 사람이라는 뜻이라 함. 9)용돗: 씻김굿에서 망자의 옷 밑에 까는 돗자리. 10)보신→버선. 11)주어: 기워, 만들어. 12)배석: 돗자리의 일종. 13)야략(夜樂)잔치: 장례 때 밤새워 하는 잔치. 14)오영방: 다섯 방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