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도군 조도면 소마도리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주근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주근 |
지역개관 | 소마도는 진도의 남서쪽에 있는 섬이다. 소마도리에 집이 많았을 때에는 105호에 이르렀으나 지금은 34호밖에 없다. 이 가운데 20여호는 농사를 짓고, 나머지는 동력선과 전마선(노젓는 배)을 타고 각종 고기를 잡는다. 40년 전까지만 해도 연평바다에서 조기를 잡아 부촌(富村)이란 말을 듣기도 했으나 지금은 조기가 잡히지 않는다. 아직까지 때묻지 않은 인심에 노래를 즐겨, 지금도 들로 나가면 녹음기에다 육자배기라도 틀어놓고 일을 하는 곳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9월 26일에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소마도리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주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 상여소리에는 상여있는 곳까지 관을 운반하면서 부르는 <긴소리>, 운상소리인 <어화넘소리>, 비탈진 길을 올라갈 때 부르는 <관암보살소리>가 있다. 이밖에 무덤을 다질 때 부르는 <가래소리>가 있다. 이 가운데 다른 곳에서 좀처럼 듣기 힘든 <긴소리>만 수록하였다. |
가사 | 허어허어우 허어허어우
허허허 허허으 허리넘자 갈 거짜야 서러마라 보낼 송짜 나도 있다 어허너 어허야 에헤 허리시고야 허어허어우 허어허어우 어허허 허허으 허리넘자 춘초는 연연녹인데 왕손도 귀불귀라1) 우리 인생은 한번 가면은 다시 오들을 못한단다 어허너 어허야 에헤 허리시고야 허어허어우 허어허어우 어허허 허허으 허리넘자 앞산도 첩첩허고 뒷산은 적막한데 혼은 어디로 행하시오 어허너 어허야 에헤 허리시고야 허어허어우 허어허어우 어허허 허허으 허리넘자 석침2) 비고 누웠으니 송풍은3) 거문고요 새소리만지지 운데 어느 자식이 날 찾겄냐 어허너 어허야 에헤 허리시고야 허어허어우 허어허어우 어허허 허허으 허리넘자 이놈이 죽고보면 백골감장4) 뉘 다 하며 오작의5) 밥이 된들 백골은 또 뉘 차진고 이 뒤 산천이 시빙시로구나6) 어허너 어허야 에헤 허리시고야 허어허어우 허어허어우 어허허 허허으 허리넘자 1) 춘초(春草)는 연연록(年年錄)인데 왕손(王孫)도 귀불귀(歸不歸)라 : 봄풀은 해마다 푸르나 왕손은 다시 오지 않는다. 왕유의 시 「송별(送別)」에 나옴. 2) 석침(石枕) : 돌베개. 3) 송풍(松風). 4) 감장(監葬) : 장사 지내는 일을 보살핌. 5) 오작(烏鵲) : 까마귀와 까치. 6) 시방시 : 가창자는 장지에서 평토제를 지낸 다음에 지내는 마지막 제사라 하나 분명치 않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