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먼들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학교면 금송리 반곡의 모찌는소리-먼들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나병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나병수 |
지역개관 |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금송리 반곡은 마을 앞으로 너른 진래뜰이 있고, 마을입구에는 함평군에서 가장 오래된 반곡제(금송저수지)가 있어 대대로 농사가 잘 되던 곳이다. 이곳 농요는 진래농요라고 해서 1992년 남도문화재에 나가기도 했다. 주산물은 쌀과 보리, 특산물로 마늘 양파 담배 등을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8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금송리 반곡에서 채집한 먼들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나병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먼들소리>라고도 한다. 나주, 무안, 신안, 진도지역과 같은 계통의 모찌는 소리이다. |
가사 | 에헤라 먼들
에헤라 먼들 무세1) 무세 모를 무세 에헤라 먼들 우리 농군은 무기가 일이네 에헤라 먼들 이 모를 무어가지고 에헤라 먼들 오늘 심을 놈을 무어야 할 터인디 에헤라 먼들 안 무어져서 못 무겄네 에헤라 먼들 그나 저나 무어보세 에헤라 먼들 무는 대로 무어 가주고 에헤라 먼들 물을 마시고 심어보게 에헤라 먼들 시 때가 넘으먼2) 못 숭구니 에헤라 먼들 지둥같은 팔목에다 에헤라 먼들 황소같은 심을 내서 에헤라 먼들 무업보세 무어보세 에헤라 먼들 심을 주어 무어보세 에헤라 먼들 얼른 무세 얼른 무세 에헤라 먼들 쩌기 쩌기 참거리3) 나오네 에헤라 먼들 참거리 나오믄 쉬어가지고 에헤라 먼들 모슴으로 갈 준비를 해여보세 에헤라 먼들 1) 무세 : (모를)찌세. 2) 시(時)때가 넘으먼. 3) 참거리 : 일을 하다가 잠시 쉬는 시간에 먹는 식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