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상3장, 문열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학교면 금송리 반곡의 논매는소리-문상3장 · 문열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나병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나병수 |
지역개관 |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금송리 반곡은 마을 앞으로 너른 진래뜰이 있고, 마을입구에는 함평군에서 가장 오래된 반곡제(금송저수지)가 있어 대대로 농사가 잘 되던 곳이다. 이곳 농요는 진래농요라고 해서 1992년 남도문화재에 나가기도 했다. 주산물은 쌀과 보리, 특산물로 마늘 양파 담배 등을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8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금송리 반곡에서 채집한 무상3장, 문열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나병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 논매는 소리는 논매는 벌수에 관계없이 <무삼삼장>-<긴소리>-<늦은들래기소리>-<절사소리>-<잦은들래기> 순으로 부른다. <긴소리>의 시작은 <무삼삼장> 삼절로, 끝은 <재넘기소리>로 맺는다. 가창방식은 메기고 받는형식이나 받는소리 부분은 세 패로 나뉘어 “아리씨구나”, “헤~호호 호호 에야”, “마뒤여”를 한 패씩 차례로 돌아가며 부른다. <늦은들래기소리>는 <긴소리>류인 <문열가소리>한 절을 부른 후에 시작된다. <자진들래기소리>는 일을 마무리 지으며 부르는 소리인데, 받는소리가 두가지로 나온다. 일렬로 논을 매어 가다가 막바지에는 가장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어 이 우 울룰룰룰루”하는 함성을 지르며 논가운데로 동그렇게 에워싸며 모여 끝낸다. |
가사 | <무상삼장>
세사는 금산척 헤이요오 생애는 주일배를 마뒤요 서정이 강상월이 헤이요오이고 허 여시 팔관난이라1) 마뒤요 동각에 설중매를 헤이요오 매일 장천이라2) 마뒤요 <문열가> 아오 허이 어허 이헤아 마뒤요 오늘도여 허 허어허어 히여 오늘도야 심시허고 요뇨허고3) 적막한 곳에 들어왔네 (에 그렇지 ) 에에에 이히 이히여도 노래자리씩이나 불러를 보세 에하헤 허어허 어허야 마뒤요 날 다려가소 허 허어허이 히히어 날 다려가소 나를 다려를 가소 한양낭군아 날 다려가소 (에 그렇지 ) 허어 어허어 이히 이히이도 지발덕분에 날 다려를 가소 에아헤 허어허 어허야 마뒤요 나주영산 허 허어허 이 히허어 나주나 영산포 돈내기 새암에는4) 상추씨는 저 큰아그 (에 그렇지 ) 허어 어허어 이히 이히 어도 상출랄은 씻랑은 겉잎은 내더리고 속잎만 잡어 훨훨 씻소 에아헤 허어허 어허야 마뒤요 영암이라 허 허어허이 히허어 영암이라 월출산은 땅이야 걸고도 거다하네 (에 그렇제 ) 허어 어허어 이히 이히 여도 죽었던 다래넝출이5) 새순이 나데 에아헤 허어허 어허야 마뒤요 영광 한량 허 허어허 이 히허어 영광 한량 양엽이 토시는 해동창6) 큰애기 첫 솜씰레 (에 그렇지 ) 허어 어허이 이히 이히 여도 해동창 큰애기 첫 솜씨일레 에아헤 허어허 어허야 마뒤요 재너머 가네 헤 허어허이 이허어 재너메 말이로다 마오장성7) 장잎장담안에8) 썩 들어서니 (에 그렇지 ) 에헤 이히 이히어도 장다리꽃은 만발하고 정월 영계는9) 찌글찌글 울고 자고새면 오늘같은 날이 또 있으랴 에아헤 허어허 어허야 마뒤요 <긴 들래기소리> 호호호하 헤 들래호 호호호하 헤 들래호 늘어진 들라기를10) 해여를 보세 호호호하 헤 들래호 옳제 그리여 다 잘도 허 허네 호호호하 헤 들래호 가세 가세 월선이 집으로 호호호하 헤 들래호 월선이 집으로를 놀러를 가네 호호호하 헤 들래호 월선이는 어디를 가고 호호호하 헤 들래호 걸렸구나 걸렸구나 호호호하 헤 들래호 거문고만 걸렸구나 호호호하 헤 들래호 얼싸 좋다 놀다를 가세 호호호하 헤 들래호 산에 올라서 옥을 캐니 호호호하 헤 들래호 이름이 좋아서 산옥이라 했제 호호호하 헤 들래호 상투는 짤라서 주머니 담고 호호호하 헤 들래호 망근아11) 풍잠아12) 너 잘있거러 호호호하 헤 들래호 마구자 철갑에13) 양총을 메고서 호호호하 헤 들래호 강원도 접전에 싸우러 간다 호호호하 헤 들래호 돌려보세 돌려를 보세 호호호하 헤 들래호 절사소리로 돌려를 보세 호호호하 헤 들래호 <절싸소리> 오헬싸 저리씨고나 오헬싸 저리씨고나 절싸소리 해여를 보세 오헬싸 저리씨고나 옳제 그렇제 다 잘도 허 허네 오헬싸 저리씨고나 요도 노래 저도 노래 오헬싸 저리씨고나 질걸어 가는데는 활개가 날개세 오헬싸 저리씨고나 우리 농부는 소리가 날개세 오헬싸 저리씨고나 돌려보세 돌려를 보세 오헬싸 저리씨고나 자진 들내기로 돌려를 보세 오헬싸 저리씨고나 <잦은 들래기소리> 호 호호 호호하하 들 들래기호 호호 호호 호호하하 들 들래기호 자른 들라기 소리를 허여를 보세 호호 호호 호호하하 들 들래기호 아이고 답답 내 설음이야 설음에 지쳐서 못 살겄네 호호 호호 호호하하 들 들래기호 세월아 네월아 가지를 말아라 장안호걸이 다 늙어진다 호호 호호 호호하하 들 들래기호 다 되얐네 다 되야가네 서말락배미가14) 다 되야가네 호호 호호 호호하하 들 들래기호 양쪽 갓을 쭉 따려가지고서 송쿠리어염을 허세15) 호호 호호 호호하하 들 들래기호 옳제 그렇제 다 잘허네 다 잘도 허네 호호 호호 호호하하 들 들래기호 한편에서는 소리를 허고 한편에서는 어염허소 호호 호호 호호하하 들 들래기호 옳제 그렇제 다 잘 허네 다 잘도 허네 호호 호호 호호하하 들 들래기호 1) 팔관난 : (뜻 모름). 2) 세사는~매일장천이라 : 세상 일은 거문고 석자요, 생애는 술한잔이라 서쪽 정자에는 강위의 달, 동쪽 누각에 눈속 매화와 매일 길게 취하리라. 유사한 가사가 실명씨의 시조에 있음. 여시팔관난은 무관하게 끼어든 듯 함. 3) 요뇨허고(蓼蓼-) : 괴괴하며 쓸쓸하고. 4) 도내기새암 : 나주에 있는 샘의 이름. 5) 다래넝출 → 다래넝쿨. 6) 해동창 : 지명. 함평군 해보면을 말하는 듯. 7) 마오장성 : (뜻 모름). 8) 장잎 장담안에 : 장잎은 벼 따위의 이삭이 나오기 전에 맨 마지막으로 나오는 잎. 장담의 뜻은 모름. 9) 정월 영계 : 정월에 알에서 깬 어린 닭. 10) 늘어진 들라기 : 늦은 들래기(소리). 11) 망근 → 망건. 12) 풍잠 : 망건의 당 앞쪽에 꾸미는 물건. 13) 마구자 철갑 : 마고자처럼 덧입는, 쇠로 된 갑옷. 14) 서말락배미 : 서말이 생산되는 논배미. 15) 양쪽 갓을~허세 : 양쪽 가를 쭉 따라가지고서 송쿠리 어염을 허세. 어염은 아직 일이 남은 논의 부분으로 조 여들어가서 마치는 것이며 송쿠리어염은 그 모양을 소쿠리에 비유한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