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긴소리, 들래기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엄다면 엄다리 불암의 논매는소리-긴소리 · 들래기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89122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함평군 |
생산지역 상세 | 엄다면 엄다리 불암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7 , 논매는소리 , 긴소리·들래기소리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전라남도 , 전남 , 함평군 , 1989 , 1993 , 긴소리 , 들래기소리 , 박장길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박장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장길 |
지역개관 | 불암마을은 마을에 불상을 모셔야 한다는 풍수설에 따라 붙혀졌다고 한다. 62호 가운데 영양천씨가 가장 많다. 농토가 넓어 대대로 벼농사를 지어 왔고, 요즈음은 특산물로 양파와 마늘을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6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엄다리 불암에서 채집한 긴소리, 들래기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장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동네는 초벌, 한벌, 만드리로 세차례에 걸쳐 논매기를 했다. 논매는소리는 세벌 모두 <무삼삼장>-<긴소리>-<늦은들래기>-<자진들래기> 순으로 부른다. 만드리때 상두지심이 날 때에는 그해 농사가 가장 잘 된 집 상머슴을 소에 태우고 집으로 들어올 때 부르는 <예농대농>이 덧붙여진다. <긴소리>는 오전에 주로 부르는데, 항상 무삼삼장(외주삼장)으로 시작하고, 끝 부분에 <재넹기소리>가 나온 뒤 <들래기소리>로 이어진다. |
가사 | <긴소리>
오늘도여 허허이 어허이 오늘도여 심심허고 요요헌데1) 노래장이나 불러보세 (어이 그렇지요 ) 아 에허 허 허어이 허허허 허어도 자고새면 날이날마다 우리농군들은 눈뚜룩재만2) 넘는구나 세고나 아하하 마뒤요 저건네라 허허이 어허이 저건네라 갈미봉에3) 비가 잔떡 묻어오네 (어이 그렇지요 ) 아 에허 이 허어이 허허허 허어도 우장삿갓을 허리에 둘르고 논에 기심을 매세 세고나 아하하 마뒤요 영암이라 허허이 어허이 영암이라 월추산은4) 걸고도 명산인데 (어이 그렇지요 ) 아 에허 이 허어이 허허허 허어도 삼년묵은 타래넝출이5) 인자사 색만 나네 세고나 아하하 마뒤요 저 건네라 허허이 어허이 저건네라 허허이 어허이 저건네라 목딸할멈6) 자네딸 잘 뒀다고 자랑마소 (어이 그렇지요 ) 아 에허 이 허어이 허허허 허어도 한 가래다는7) 오짐을 싸고 한 가래다는 번개똥만 벨벨 싸네 세고나 아하하 마뒤요 바람불고 허허이 어허이 바람불고 비가 올 줄을 알면은 (어이 그렇지요 ) 아 에허 이 허어이 허허허 허어도 어떤 잡년이 갱변으로8) 빨래질을 갈께9) 세고나 아하하 마뒤요 재넘어가오 (오호 ) 이리 아하 어허 아아 아하 아 아이 이인사 (오호 ) 세고나 아하하 마뒤요 <긴 들래기소리> 호호호 호호호와 들들개호 호호호 호호호와 들들개호 다 잘 하네 다 잘도 허네 호호호 호호호와 들들개호 우리 농군 다 잘도 허네 호호호 호호호와 들들개호 <잦은 들래기소리> 호호 호호와 더덜개호 호호 호호와 더덜개호 다 되었구나 다 되었구나 호호 호호와 더덜개호 오늘 일이 다 되었구나 호호 호호와 더덜개호 서말 배미가10) 다 되어가네 호호 호호와 더덜개호 다 잘 허네 다 잘도 허네 호호 호호와 더덜개호 우리 농군들 다 잘도 허네 호호 호호와 더덜개호 우리 농군들 다 잘도 허네 호호 호호와 더덜개호 (제창 ) 에 위 1) 요요한데(蓼蓼-) : 괴괴하고 쓸쓸한데. 2) 논뚜룩재 : 논두렁 고개. 3) 갈미봉 : 비올 때 농부들이 쓰는 모자인 갈모같이 생긴 봉우리. 4) 월추산 → 월출산. 5) 다래넝출 → 다래넝쿨. 6) 목딱할멈 : 목딱의 뜻은 알 수 없음. 막덕할멈, 막집할멈 등 음이 비슷한 이름의 인물이 전남의 서부 농요에 자주 등장함. 한 가창자는 막집이 오두막집의 준말이라 함. 7) 가래 : 가랑이. 여기서는 옷의 가랑이를 말함. 8) 갱변 → 강변. 9) 갈께 → 갈까. 10) 서말배미 : 서말이 생산되는 논배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