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삼벗기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대동면 용성리 금성의 논매는소리-무삼벗기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모남용, 박길수, 박홍섭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모남용, 박길수, 박홍섭 외 |
지역개관 | 금성마을은 마을 뒤의 금성산이 소쿠리처럼 에워싸고 있는 아늑한 마을이다. 옛부터 산위에 산성이 있었던 곳으로 지금도 삼면이 산성으로 둘러 쌓여있고, 마을 어귀에는 문루의 흔적이 완연히 남아 있다. 총가구수 70여호 가운데 밀양박씨가 50여호에 이른다. 주소득원은 벼농사이며 특산물로는 양파를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7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용성리 금성에서 채집한 무삼벗기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모남용, 박길수, 박홍섭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매기는 보통 초벌, 한벌, 만드리 세차례에 한다. 논매는 소리는 세차례 모두 <무삼벗기기>, <긴소리>, <외임붙이기>로 같으나 한벌 혹은 만드리 때에는 논에서 풍장을 치며 부르는 <아궁소리>와 상머슴을 소에 태우고 집으로 돌아올 때 부르는 <애롱대롱>이 덧붙는다. 다른 마을과 거의 같은<긴소리>와 <애롱대롱>은 여기에서 생략하였다. <무삼벗기는 소리>는 논매는 소리의 첫부분이다. |
가사 | 세사는 금삼 아어 삼척인디
오우 생애는 주일 아허 일배라 오우 서전강산 강산 아어 강산월인디 오우 에위이여 동각에 설중매 데리고 완월정취 놀고 아어 놀고가세1) 오우 에 아 오우 1) 세사는~놀고가세 : 세상 일은 거문고 석자인데 생애는 술 한잔이라 서쪽 정자에는 강산의 달인데 동쪽 누각에 눈속 매화 데리고 완월장취(玩月長醉) 놀고가세. 유사한 가사가 실명씨의 시조 중에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