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재넹기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대동면 용성리 금성의 논매는소리-재넹기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모남용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모남용 |
지역개관 | 금성마을은 마을 뒤의 금성산이 소쿠리처럼 에워싸고 있는 아늑한 마을이다. 옛부터 산위에 산성이 있었던 곳으로 지금도 삼면이 산성으로 둘러 쌓여있고, 마을 어귀에는 문루의 흔적이 완연히 남아 있다. 총가구수 70여호 가운데 밀양박씨가 50여호에 이른다. 주소득원은 벼농사이며 특산물로는 양파를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7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용성리 금성에서 채집한 재넹기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모남용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마무리소리>, <외임붙이기>라고도 한다. <긴소리>에 이어 소리를 한 후 다른 소리로 넘어가거나 일을 매듭짓고 논 밖으로 나온다. 다른 인근 마을의 마무리소리가 들래기소리종류인 것에 비해 노랫말 없는 구음(口音) 가락으로 전개되는 점이 매우 특이하다. |
가사 | 재넘어 어히여 허허
(어허, 그렇체 ) 재 너메 말이로구나 마구장성1) 장님 장단이 고개를2) 썩 넘어스니 아 어허 이히이 에 엥계는 목을 빼고3) 장다리꽃은 휘눌러졌는디4) 오날같이 시원하고 개안헌 날이5) 어데 또 있을구너 우어어 우어에 에에 에아 아아 아우어 우어어 우어에 에에 에아 아아 아우어 우어어 우어에 에에 에아 아아 아우어 1) 마구장성 : (뜻 모름). 2) 장단이 고개 : 고개 이름인 듯. 3) 영계는 목을 빼고 : 영계는 울고. 4) 휘눌러졌는디 → 휘늘어졌는데. 5) 개안헌 날이 → 개운한 날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