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풍장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대동면 용성리 금성의 논매는소리-풍장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모남용, 박길수, 박홍섭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모남용, 박길수, 박홍섭 외 |
지역개관 | 금성마을은 마을 뒤의 금성산이 소쿠리처럼 에워싸고 있는 아늑한 마을이다. 옛부터 산위에 산성이 있었던 곳으로 지금도 삼면이 산성으로 둘러 쌓여있고, 마을 어귀에는 문루의 흔적이 완연히 남아 있다. 총가구수 70여호 가운데 밀양박씨가 50여호에 이른다. 주소득원은 벼농사이며 특산물로는 양파를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7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용성리 금성에서 채집한 풍장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모남용, 박길수, 박홍섭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풍물을 치며 논매는 일을 할 때 풍장꾼들이 주도 해 부르는 <풍장소리>이다. 이 곡도 다른 마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노래이다. |
가사 | 영암에 월출산
영암에 월출산 영암에 월출산 상상봉 지치달라1) 상상봉 지치달라 상상봉 지치달라 어아 어 어자 어제는 비오더니 어제는 비오더니 어제는 비오더니 오날은 개였구나 오날은 개였구나 오날은 개였구나 어아 어 어자 월산이 어데 가고 월산이 어데 가고 월산이 어데 가고 거문고만 걸렸구나 거문고만 걸렸구나 거문고만 걸렸구나 어아 어 어자 까마귀 까마귀 까마귀 까마귀 까마귀 까마귀 속조차 검을소냐 속조차 검을소냐 속조차 검을소냐 어아 어 어자 1) 지치달라 → 짓치달아. 몹시 치달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