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긴소리, 맘조시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손불면 양재리 모량의 논매는소리-긴소리 · 맘조시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모봉기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모봉기 |
지역개관 | 모량마을은 마을형국이 모란 모양의 갯가라 해서 모린개라 부르다가 이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모량(慕良)으로 바뀌었다. 함평모씨가 자작일촌을 이루고 있다. 주산물은 쌀과 보리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9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양재리 모량에서 채집한 긴소리, 맘조시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모봉기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초벌, 두벌, 만드리 세차례 논을 매는데, 소리는 세차례 모두 같다. 먼저 <긴소리>를 부르고 새참 때나 점심때가 되면 <재넘기소리>를 한소절 부른다. 마무리 소리인 <맘조시>로 맺는다. |
가사 | <긴소리>
응아 뒤요 목포는 (허 ) 목포라 유달산에 쇠장구소리 재고무공장1) 처녀들이 반봇짐만2) 싸네그려 (어 그렇지요 ) 응 허허이 허 에허 반봇짐만 싸네그려 아리씨구나 허허아 응아 뒤요 불갑산 (예이 ) 불갑산 영실봉에 밤중새빌이 앵듣라졌네 그려3) (어허, 그렇지요 ) 응 어허 이 밤중새별은 앵드라졌네 아리씨구나 허허아 응아 뒤요 영암에 (예이 ) 영암이라 월추산에 능금다래4) 포두넝출 휘너울러졌네 그려 (어허 그렇지요 ) 응 어허 이 능금다래 포두넝출은 너울러졌네 아리씨구나 허허아 <맘조시> 허 허어야 허허 허허 허허 우이 허 허어야 허 허허 우이 사방으로 우여들세5) 1) 재고무공장 : 고무공장이라 할 것을 잘못 불렀다 함. 2) 반봇짐 : 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는 조그마한 봇짐. 3) 앵드라졌제 → 앵돌아졌네 : 앵돌아지다는 홱 돌아가다. 4) 다래 : 둥그스름한 녹황색 열매로 9~10월에 익음. 5) 우여들세 : 모여드세. 쌈싸서 끝내자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