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나산면 우치리 계동의 밭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수복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윤수복 |
지역개관 | 계동마을 어귀에 있는 하마비라든가 우암 송시열을 배향했다는 자양서원(주자서원)터가 남아있는 것을 보면 한 때 융성했던 마을로 보이나, 지금은 40여호가 사는 작은 마을이다. 쌀과 보리농사를 지으며 특산물로 딸기를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7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나산면 우치리 계동에서 채집한 밭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수복이 참여하였다. 이번에 수록된 여러 밭매는 소리 가운데서 가장 밭매는 상황에 어울리는 노랫말로 되어 있는 노래이다. |
가사 | 사래 길고 장찬1) 밭에
멧골같이2) 지신3) 골을 요내 골도 못 매는디 벗에 골만 맞으라네 이 골 매고 저 골 매고 삼세 골을 매고 보니 넘어가네 넘어가네 일락서산에 넘어가네 친구 친구 어서 오소 이 골 저 골 다 매는데 외골 잡고 뭣 허는가 1) 장찬(長-) : 곧고도 긴. 2) 멧골: 산골. 3) 지신: 우거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