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아찧는소리(디딜방아)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방아찧기 > 방아찧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신광면 삼덕리 덕산의 방아찧는소리(디딜방아)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영숙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영숙 |
지역개관 | 덕산마을은 남북쪽에 큰골봉우리와 매봉산이 솟아있는 산골마을로, 마을의 형국이 새가 날고 있는 모습과 같다하여 새낙골(새날골)또는 조비동(鳥飛洞)으로도 부른다. 파평윤씨 자작일촌으로 총 46여호가 거주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7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신광면 삼덕리 덕산에서 채집한 방아찧는소리(디딜방아)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영숙이 참여하였다. 전라남도를 통틀어 이 마을에서 유일하게 찾아낼 수 있었던 디딜방아 찧는 소리이다. 디딜방아에는 보리나 조를 찧는데, 두 패로 나뉘어 방아를 찧었다. 방아찧을 때의 떠들석한 분위기가 흥겨운 곡조에 잘 담겨있다. |
가사 | 여 여섯이 찧는 방애
한 몸 한 뜻 당거 주소 웃가래서1) 심써 주먼 밑가래서2) 심써 줌세 어깨야 다리야 한심 써라 오늘 밤도 야심허다 방아 씰으는3) 저 부인네 굉기4) 괼지 모르는가 괴기사 괼레마는 한바탕만 당거 주소 웃가래서 당거 주먼 밑가래서 심써 줌세 어깨야 다리야 한심 써라 오늘 밤도 야심허다 당거 주소 당거 주소 오야라 장창 당거 주소 웃가래서 힘써 주먼 밑가래서 당거 줌세 어깨야 다리야 한심 써라 오늘 밤도 야심허다 방아 씰으는 저 부인네 굉기 괼지 모르는가 괴기사 괼레만은 한바탕만 당거 주소 당거 주소 당거 주소 오야라 장창 당거주소 어느 누가 사정볼까 굉깃대가 사정보제 1)웃가래: 디딜방아의 끝쪽. 2)밑가래: 디딜방아의 옆쪽. 3)씰으는: 씰다는 방아를 찧어 곡식의 껍질을 벗기다의 뜻. 4)굉기: 방아를 다 찧고 나서 디딜방아 밑에 괴는 나무토막. 굉기 괴다는 말은 방아찧기를 마친다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