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맷돌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매질 > 맷돌질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나산면 우치리 계동의 맷돌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수복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윤수복 |
지역개관 | 계동마을 어귀에 있는 하마비라든가 우암 송시열을 배향했다는 자양서원(주자서원)터가 남아있는 것을 보면 한 때 융성했던 마을로 보이나, 지금은 40여호가 사는 작은 마을이다. 쌀과 보리농사를 지으며 특산물로 딸기를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7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나산면 우치리 계동에서 채집한 맷돌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수복이 참여하였다. 윤수복 할머니가 다른 가창자들에게 뒷소리를 가르쳐 주어 부르게 하였다. 맨끝의 두 소절은 원래 맷돌질 할 때 하더 노래라기보다는 노랫말의 흐름에 따라 덧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
가사 | 오헤라 맷돌
오헤라 맷돌 시리렁 시리렁 매갈세1) 오헤라 맷돌 이 매 갈아 멋할랑가 오헤라 맷돌 덩컬덩컬 수제비죽 오헤라 맷돌 사우상으로 다 오리네 오헤라 맷돌 할멈할멈 죽지마소 오헤라 맷돌 덩컬덩컬 수제비뎅이 오헤라 맷돌 사우상으로 다 오리네 오헤라 맷돌 꼬두상투2) 끄덱임서3) 오헤라 맷돌 생벌써이기4) 내 처럽네5) 오헤라 맷돌 영감아 곶감아 오래만 살소 인절미 콩찰떡 꿀 볼라줌세 1) 매 : 맷돌, 매통 등 곡식 가는 도구의 통칭. 2) 꼬두상투 : 숱이 적은 상투. 3) 끄덱임세 : 끄덕이면서. 4) 생벌써이기 : 생배곯기라는 뜻. 5) 처럽네 : 처량하네라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