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담바구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손불면 양재리 모량의 담바구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국봉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국봉례 |
지역개관 | 모량마을은 마을형국이 모란 모양의 갯가라 해서 모린개라 부르다가 이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모량(慕良)으로 바뀌었다. 함평모씨가 자작일촌을 이루고 있다. 주산물은 쌀과 보리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9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양재리 모량에서 채집한 담바구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국봉례가 참여하였다. 전라남도편 음반에는 두곡의 담방구타령이 실렸는데, 이 담바구타령이 곡조나 사설전개가 원형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이 노래 뒤에도 길게 사설이 이어지나 지금은 다 기억하지 못한다고 한다. |
가사 | 구야 구야 담방구야 동래나 워리 월산에1) 담방구야
너그 국이 좋담서야 괴한의 국이 국이를2) 귀경왔냐 은도 없고 금도나 없고 담방구씨 한나를 갖고 왔네 매도3) 매도 열도나 매도 매도나 매도마닥4) 짤라 묻어 화초밭에 화초 숭거 폭폭이나 잡어 행게5) 영오리고 동오리고6) 그네야 강수7) 드는 칼로 오리 송송 뿌어다가8) 불과 같이 나는 볕에 와삭이 바삭이 몰려갖고9) 여자 쌈지 한 쌈지요 총각에 싸지 쌈지가 한 쌈지라 댐배 한 대 먹고나 보니 목구녕 속에 속에서 실안개가 돌고 또나 한 대 먹고나 보니 목구녕 속에 속에서 다단개10) 돈다 또나 한 대 먹고나 보니 임의나 새 생각이 절로 나네 물질로 가세 물질로 가여 저석에 저성폴로11) 물질로 갑시다 물도 질고 임도나 보고 겸사 겸사로 물질로 갑시다 1) 동래나 워리 월산에 : 동래, 월산은 경남의 지명. 2) 괴한의~국이를 : 대한의 국, 즉 우리나라를. 3) 매도 : 마디. 4) 매도마닥 : 마디마다. 5) 폭폭이나 잡어행게 : 포기 포기나 잡어행궈. 6) 영오리고 동오리고 : 영오르고는 약오르고의 와전인 듯. 동오리고는 대궁이 오르고라고 함. 즉, 다 자랐다는 뜻. 7) 그네야 강수 : (뜻 모름). 8) 뿌어다가 : 베어다가. 9) 몰려갖고 : 말려갖고 10) 다단개 : (뜻 모름). 11) 저성폴로 : (뜻 모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