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시집살이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신광면 삼덕리 덕산의 시집살이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영숙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영숙 |
지역개관 | 덕산마을은 남북쪽에 큰골봉우리와 매봉산이 솟아있는 산골마을로, 마을의 형국이 새가 날고 있는 모습과 같다하여 새낙골(새날골)또는 조비동(鳥飛洞)으로도 부른다. 파평윤씨 자작일촌으로 총 46여호가 거주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7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신광면 삼덕리 덕산에서 채집한 시집살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영숙이 참여하였다. 전남지역의 서사적인 시집살이노래에서 들을 수 있는 전형적인 사설이다. 며느리와 적대적 관계에 있는 시아버지의 행위와 이에 대한 남편의 항거가 특징적이다. 며느리를 죽음으로 이끄는 시아버지의 존재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기보다는 상상력에 기반을 둔 것이라고 생각된다. |
가사 | 양님땅땅 양님이는
시집 가기 원허드니 시집 가던 사흘만에 모숭그러 나스라네 나스라먼 나스지요 숭그라먼 숭그지요 박속같은 요내 다리 거둥거둥 걷어 엱고 활등같이 곱은 질에1) 활 쏘데끼2) 쏘아가서 논 가운데 들어가니 굵은 비는 다망다망 가랑비는 짜락짜락 에라허고 못 숭겄네 집이라고 돌아옹게 시름시름 시아버지 아가아가 메늘아가 손발 씻고 들오너라 손발 씻고 들어강게 사약 떠다 엱어 놓고 간장 떠다 영거놓고 한 모금을 마시라서 한 모금을 마셔보니 사대삭신 물러나네 두 모금을 마시라서 두 모금을 마셔보니 아조 가고 영영 갔네 서당선배 내오심서 양님땅땅 양님이는 시집살이 강허담서3) 대낮잠이 웬일인가 일어나소 일어나소 이리 참서 일어나소 그래해도 안 일어나 박속같은 요내 손길 가슴 우게 영거봉게 아주가고 영영갔네 어머니도 들어보이쇼 아버지도 들어보이쇼 장인장모 알고보먼 멋이라고 대답헐게 앞논 폴아 생에4) 찌고 뒷논 폴아 널 짜주소 얖은구녁 짚이 파서 꽉꽉이나 묻어주소 서울질로 나는 뛰네 삼부모5) 죽었다고 핀지왕래 허시글랑 그때게나6) 내 얼굴 보소 이별허고 나는 가네 1) 곱은 질에 → 굽은 길에. 2) 활쏘데끼 : 활쏘듯이. 3) 강허담서 : 고되다면서. 4) 생에 → 상여. 5) 삼부모 : 부모. 6) 그때게나 : 그때에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