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강도령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나산면 우치리 계동의 강도령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수복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윤수복 |
지역개관 | 계동마을 어귀에 있는 하마비라든가 우암 송시열을 배향했다는 자양서원(주자서원)터가 남아있는 것을 보면 한 때 융성했던 마을로 보이나, 지금은 40여호가 사는 작은 마을이다. 쌀과 보리농사를 지으며 특산물로 딸기를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7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나산면 우치리 계동에서 채집한 강도령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수복이 참여하였다. 장가를 들고보니 색시가 아이를 낳아 놓고 있더라는, 어떤 설화를 배경으로 생겨났음직한 부녀요 가운데 대표적인 노래이다.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는 알 수 없으되 노랫말을 통해 그 시대의 풍속의 단면을 짐작할 수 있다. |
가사 | 강질 강질 강도령은 강올책을1) 품에 품고
임안 땅에 장개들어 장개떡이2) 어쩌든가 서른두 간 지와집에 마흔두 간 대벽방에3) 금오비단 홑이불은 덮을 데끼4) 돋아놓고 원앙금침 자우비개5) 둘이 빌 데끼 돋아놓고 새별겉은 요강대우 느리느리 밀쳐 놓고 방 안에는 연꽃 피고 문 우그는6) 피꽃 피고 핏자꼬리 연자꼬리7) 하늘에 천자 걸어놓고 한 대문을 열어보니 안종도 열에다섯 바깥종도 열에다섯 한 대문을 열어보니 누웠는 말도 열에 다섯 섰는 말도 열에다섯 한 대문을 열어보니 양가매도8) 열에 다섯 금동우도 열에 다섯 병일레라 병일레라 꽃자리는 마다시고 짚자리만 딜이라네 떡국 상은 마다시고 미역국 상만 딜이라네 아랫방에 처남 남매 반말이나 허고 가네 웃방에 상각손님9) 오던 질로 도상허세10) 장인 장모 나서시소 반절이나 하고가세 에라허고 요망한 놈 반절밲이 못 배왔냐 자네 딸 행실 보면 반절도나 감사하네 1)강올책: 강도령이 갖고 다니는 책인 듯. 2)장개떡: 장가간 댁. 3)대벽방: 도배가 잘 된 방. 4)덮을 데끼: 덮을 듯이. 5)자우비개: 둘이서 베는 베개. 6)문 우그는: 문 위에는. 7)방안에는~연자꼬리: 신부가 해산하느라고 어질러진 방을 묘사한 구절. 8)양가마: 놋쇠가마. 9)상각→상객(上客): 혼인 때 가족이나 일가 중에서 신랑이나 신부를 데리고 가는 사람. 10)도상허세: 돌아가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