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평군 학교면 금송리 반곡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나병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나병수 |
지역개관 |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금송리 반곡은 마을 앞으로 너른 진래뜰이 있고, 마을입구에는 함평군에서 가장 오래된 반곡제(금송저수지)가 있어 대대로 농사가 잘 되던 곳이다. 이곳 농요는 진래농요라고 해서 1992년 남도문화재에 나가기도 했다. 주산물은 쌀과 보리, 특산물로 마늘 양파 담배 등을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2월 28일에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금송리 반곡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나병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앞부분은 상여를 메고 일어서면서 하는 소리이고 가운데 부분은 상여를 메고 길을 가면서, 그리고 뒷부분은 언덕을 바삐 올라가면서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가남보샐
가남보샐 놀고가세 이히여 오이 놀고가세 놀고를 가세 오늘 저녁 여기서 노세 가남보샐 오늘 저녁 오늘 저녁 여기서 놀고 내일날로는 어디로 갈께 가남보샐 산천 산천초목을 벗을 삼고 나는 가겄네 그려 가남보샐 앞산 앞산도 첩첩하고 뒷산도 첩첩허네 그려 가남보샐 허어노 허어노 허허이 허어노 허허이 허어노 허어오 허어노 어어이 허어노 어어이 허어노 내가 살든 고향에서는 이웃도 좋고 친구도 좋네 허허이 허어노 허어오 허어노 어어이 허어노 어어이 허어노 날가는디 는 무슨 반덴지1) 윳도 없고 친구도 없네 허허이 허어노 허어오 허어노 어어이 허어노 어어이 허어노 명사십리 해당화는 운종을2) 치며는 새순이 나네 허허이 허어노 허어오 허어노 어어이 허어노 어어이 허어노 초로인생은 한번 가면 댜시 올 줄을 내모리니 허허이 허어노 허어오 허어노 어어이 허어노 어어이 허어노 허어노 허어노 허어노 허어노 발도 맞추고 소리도 맞차서 허어노 허어노 고이곱게 운상해세 허어노 허어노 조심조심 이리를 오소 허어노 허어노 명전공포를3) 따라와서 허어노 허어노 영장지가4) 당도허니 허어노 허어노 올라가세 올라가세 허어노 허어노 산천초목을 올라가세 허어노 허어노 이리오소 이리오소 허어노 허어노 1) 무슨 반덴지 : 무슨(어떤) 곳인지. 2) 운종 : 중동, 가운데 도막이라는 뜻. 3) 명전공포 → 명정공포(銘旌功布) : 명정은 상례에서 일정한 폭과 길이의 천에 죽은 사람의 품계, 본관 등을 쓴 기. 공포는 관을 묻을 때 닦는 데 쓰는 삼베 헝겊. 둘다 발인 때 장대에 달아 세우고 감. 4) 영장지 : 장지(葬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