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의 모심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하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하님 |
지역개관 | 금호도는 목포에서 뱃길로 20여분, 다시 버스로 30여분쯤 가야하는 곳이다. 원래는 섬이었으나, 91년도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연결되어 버스가 다닌다. 예전에는 반농반어였으나 지금은 아낙네들이 굴채취만 소일삼아 할 뿐 바닷일은 차츰 줄어들고 있다. 가구수는 110여호.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9일에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에서 채집한 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하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예전부터 이 마을에서는 논일과 밭일이 모두 여자들의 몫이었다. 이 마을 <모심는 소리>는 <늦은소리>에서 <잦은소리>로 넘어간다. |
가사 | <긴소리>
어기야 어허여루 상사뒤요 어기야 어허여로 상사뒤요 풍년이오 풍년이 왔네 금년 해철에1) 풍년이오 어기야 어허여로 상사뒤요 올해도 풍년이고 내년 해철도 풍년이오 어기야 어허여로 상사뒤요 여그 심고 저그를 심어도 얼방없이만2) 심어주소 어기야 어허여로 상사뒤요 이 배미 싱기고 저 배미 싱기고 장구배미로3) 싱게라세 어기야 어허여로 상사뒤요 <잦은소리> 에헤 에헤어루 상사뒤요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지비4) 지비 초록지비 집만 짓고도 가고없네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나부는 대양나부5) 알만 실고도6) 가고 없네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우리엄마 나 나놓고 어느 골과7) 이별하요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너 크는 줄 알다마는 기가 막혀서 못 가겄네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서른석장 종우8) 밑에 마흔석장 뗏장9) 밑에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열쇠없는 쟁긴 문은 기가 막혀서 못 나와요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삼월이라 삼질날은 강남서 나온 제비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강남서 나온 제비 나온다고 성실하고10)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서상강11) 뜬 기러기 들어간다고 하적하네12)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춘하추동 사시설은 호성세월을13) 다 보냈네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그렁성 저렁성 내야 시상을 살고보니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이내 청춘은 지내가고 백발이 만발했네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1) 금년 해철 : 금년의 철. 2) 얼방 : 빈 곳. 3) 장구배미 : 장구처럼 가운데가 잘룩하게 생긴 논. 4) 지비 : 제비. 5) 대양나부 → 대왕나비(大王-) : 나비의 일종. 6) 실고도 : 슬고도. 슬다는 알을 깔기다. 7) 어느 골 과 : 어느 고을로 가(서). 8) 종우 : 종이. 장사지낼 때 시신의 위 아래로 종이를 깔고 덮음. 9) 뗏장 : 떼는 무덤에 입히는 잔디. 10) 성실하고 : 성시(盛市)를 하고의 준말. 11) 서상강 → 소상강(瀟湘江) : 중국 토남성 동쪽에 있는 소수와 상강을 아울러 이르는 말. 부근에 소상팔경이 있음. 12) 하적 → 하직(下直). 13) 호성세월 → 허송세월(虛送歲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