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아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해남군 문내면 용암리 원동의 논매는소리-방아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00118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해남군 |
생산지역 상세 | 문내면 용암리 원동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8 , 논매는소리 , 방아타령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전라남도 , 전남 , 해남군 , 1990 , 1993 , 방아타령 , 정간조 , 최한천 , 김남동 , 임규진 , 박동호 , 박종식 , 윤옥순 , 정상옥 , 박춘옥 , 박남석 , 박석한 , 박동열 , 박홍철 , 김영재 , 신건석 , 정세환 , 배기봉 , 교환창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정간조, 최한천, 김남동, 임규진, 박동호, 박종식, 윤옥순, 정상옥, 박춘옥, 박남석, 박석한, 박동열, 박홍철, 김영재, 신건석, 정세환, 배기봉 |
---|---|
실연방법 | 교환창,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정간조, 최한천, 김남동, 나/임규진, 박동호, 박종식, 윤옥순, 뒷소리/정상옥, 박춘옥, 박남석, 박석한, 박동열, 박홍철, 김영재, 신건석, 정세환, 배기봉 |
지역개관 | 원동이란 이름은 원님이 쉬어간 집이라는 말에서 유래했다 하며, 원동 옆에는 말을 매는 마당골(마장골)이 있었다고 한다. 53호가 사는 각성받이 마을로 벼농사가 주업이다. 이 마을에서는 논일, 밭일노래, 상여소리, 부녀요, 동요 등 40여곡을 채록하였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8일에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용암리 원동에서 채집한 방아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간조, 최한천, 김남동, 임규진, 박동호, 박종식, 윤옥순, 정상옥, 박춘옥, 박남석, 박석한, 박동열, 박홍철, 김영재, 신건석, 정세환, 배기봉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초벌, 두벌, 만벌로 보통 세차례 논을 맸다. 초벌은 선거름이라 하여 허리를 굽혀 풀을 뽑고, 두벌과 세벌은 무릎을 끊고 엎드려 김을 맨다. 이 마을 논매는 소리는 일 동작과 소리와의 일체감을 중시해, 매 벌마다 논매는 소리가 다르다. 초벌에는 <방아타령>, 두벌에는 <절로소리>, 세벌에는 <만벌소리>를 부르고, 큰집일 경우 가끔 만벌이 끝난 후 그 집 상머슴을 소에 태우고 집으로 돌아오며 풍장을 치고 <길꼬내기>를 부른다. 초벌매기때 부르는 <방아타령>은 일꾼을 세 패로 나눠 각각 초장, 중장을 번갈아 부른다. |
가사 | 가 : 간다 간다 나는 간다
나 : 정칠놈1) 따라서 내 돌아간다 에라 뒤여 디야라 디야 에헤헤라 디야 방애 헤 네로고너 가 : 달 떠온다 달 떠온더 나 : 임의야 동창에 달 떠나온더 에라 뒤여 디야라 디야 에헤헤라 디야 방애 헤 네로고너2) 가 : 오동추야 달은 밝고 나 : 임의야 생각이 절로나 난더 에라 뒤여 디야라 디야 에헤헤라 디야 방애 헤 네로고너 가 : 저 건네 갈미봉 비 묻어 온다 나 : 우장을 둘러라 논지심 매세 에라 뒤여 디야라 디야 에헤헤라 디야 방애 헤 네로고너 가 : 인제 가면 언제나 오나 나 : 언제 올 줄을 내 모르겄네 에라 뒤여 디야라 디야 에헤헤라 디야 방애 헤 네로고너 가 : 말은 가자 니 굽을 친데3) 나 : 임은 날 잡고 낙루를 하네 에라 뒤여 디야라 디야 에헤헤라 디야 방애 헤 네로고너 가 : 바람아 퉁탱 불지를 마라 나 : 이화연풍이4) 다 떨어진다 에라 뒤여 디야라 디야 에헤헤라 디야 방애 헤 네로고너 가 : 가자 가자 어서 가자 나 : 이수5) 건너서 어서나 가저 에라 뒤여 디야라 디야 에헤헤라 디야 방애 헤 네로고너 가 : 청사초롱에 불 밝혀러 나 : 멋이라 한 줄을 내 모르겄네6) 에라 뒤여 디야라 디야 에헤헤라 디야 방애 헤 네로고너 1) 정칠놈 : 경칠놈. 2) 네로고너 : 너로구나. 3) 니 굽을 친데 : 네(말) 굽을 치는데. 4) 이화연풍 → 이화춘풍(梨花春風) : 배꽃이 필 무렵의 봄바람. 5) 이수(二水) : 두 줄기의 (강)물. 6) 멋이라 : 뭣이라. 앞에서 한 소리를 못 알아들었을 때에 이런 식으로 부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