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노젓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항해과정 > 노젓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의 노젓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곽진영, 김성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곽진영, 김성수 |
지역개관 | 금호도는 목포에서 뱃길로 20여분, 다시 버스로 30여분쯤 가야하는 곳이다. 원래는 섬이었으나, 91년도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연결되어 버스가 다닌다. 예전에는 반농반어였으나 지금은 아낙네들이 굴채취만 소일삼아 할 뿐 바닷일은 차츰 줄어들고 있다. 가구수는 110여호.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9일에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에서 채집한 노젓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곽진영, 김성수가 참여하였다. 그물배가 아닌 낚싯대 정도의 작은 배를 저어 가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연안어업을 하면서 부르던 소소한 뱃노래 가운데서는 이만한 노래도 귀하다. |
가사 | 어야 뒤야
어야 뒤야 우리 배는 어야 뒤야 잘도 간다 어야 뒤야 어야 뒤어 어야 뒤야, 어기어차 망망대핼 어야 뒤야, 어기어차 찾어가세 어야 뒤야, 어기어차 어야뒤어 어야 뒤야, 어기어차 만경장파1) 어야 뒤야, 어기어차 선인들은 어야 뒤야, 어기어차 사람 사서 어야 뒤야, 어기어차 고사 모시네 어야 뒤야, 어기어차 우리같은 어야 뒤야, 어기어차 뱃사람은 어야 뒤야, 어기어차 고기잡어 어야 뒤야, 어기어차 고사 모시고 어야 뒤야, 어기어차 망망대핼 어야 뒤야, 어기어차 순풍 달고 어야 뒤야, 어기어차 찾어가세 어야 뒤야, 어기어차 어야 뒤어 어야 뒤야, 어기어차 어기여 저차 어야 뒤야, 어기어차 가자 가자 어야 뒤야 고기 바탕 어야 뒤야 찾어 가세 어야 뒤야 들물도 어야 뒤야 거실리고 어야 뒤야 썰물도 어야 뒤야 거실려서 어야 뒤야 고기바탕2) 어야 뒤야 찾아가네 어야 뒤야 썰물은 어야 뒤야 어디가 좋고 어야 뒤야 드물을 어야 뒤야 어디가 좋냐 어야 뒤야 일심동력3) 어야 뒤야 합해 갖고 어야 뒤야 고기바탕 어야 뒤야 찾아가세 어야 뒤야 어야차 어야 뒤야 잘도 가네 어야 뒤야 잘도 간다 어야 뒤야 우리 배는 어야 뒤야 잘도 가고 어야 뒤야 사둔네 배는 어야 뒤야 못도 가네 어야 뒤야 여보게 어야 뒤야 접군들아4) 어야 뒤야 일심전력 어야 뒤야 노를 저서 어야 뒤야 놈보다 어야 뒤야 빨리 가서 어야 뒤야 고기 한마리 어야 뒤야 더 잡기를 어야 뒤야 일심전력 어야 뒤야 노를 저서 어야 뒤야 놈보다 어야 뒤야 빨리 가서 어야 뒤야 고기 한마리 어야 뒤야 더 잡기를 어야 뒤야 일심동력 어야 뒤야 다해 보세 어야 뒤야 어기여차 어야 뒤야 뱃노래를 어야 뒤야 높이 불러 어야 뒤야 우리 바삐 어야 뒤야 고기찾아 어야 뒤야 얼렁 가세 어야 뒤야 어야차 어야 뒤야 어기여차 어야 뒤야 뱃노래를 어야 뒤야 힘차게 불러서 어야 뒤야 우리 같이 어야 뒤야 고기 잡으러 어야 뒤야 행해보세5) 어야 뒤야 어여차 어야 뒤야 어기여차 어야 뒤야 여보게 어야 뒤야 앞사공아 어야 뒤야 빨리빨리 어야 뒤야 행천하고6) 어야 뒤야 고기바탕 어야 뒤야 찾아가서 어야 뒤야 어야차 어야 뒤야 닻을 놓아 어야 뒤야 조낙7) 놓기 어야 뒤야 힘써보세 어야 뒤야 어기여차 어야 뒤야 접거리도8) 어야 뒤야 쳐올리고 어야 뒤야 중거리도9) 어야 뒤야 쳐올려서 어야 뒤야 주낫 놓기 어야 뒤야 준비하소 어야 뒤야 어기여차 어야 뒤야 어기여 어야 뒤야 1) 만경장파 → 만경창파(萬頃蒼波). 2) 고기바탕 : 고기가 많이 모이는 곳. 3) 일심동력(一心同力) : 여러 사람이 한 마음으로 힘을 같이 함. 4) 접군(接軍) : 하나의 노를 두 사람이 저을 때 보조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 5) 행해보세(行-) : 가보세. 6) 행천 → 행선(行船). 7) 조낙 → 주낙 : 낚시 한 줄에 여러 개의 낚시를 띄엄띄엄 달아 감았다 풀었다 하는 바다 낚시대. 8) 접거리 : 배의 앞쪽에 있는 노. 9) 중거리 : 배의 뒤쪽에 있는 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