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장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자장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의 자장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행임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행임 |
지역개관 | 금호도는 목포에서 뱃길로 20여분, 다시 버스로 30여분쯤 가야하는 곳이다. 원래는 섬이었으나, 91년도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연결되어 버스가 다닌다. 예전에는 반농반어였으나 지금은 아낙네들이 굴채취만 소일삼아 할 뿐 바닷일은 차츰 줄어들고 있다. 가구수는 110여호.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9일에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에서 채집한 자장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행임이 참여하였다. 대개 정형화되기 마련인 자장가이지만 이 노래처럼 색다른 노랫말이 나올 수 있는 것도 아이를 재우며 혼자 부르는 노래이기에 가능하다. |
가사 | 마라 마라
마라 마라 우리 애기 잠을 자고 놈애기는 깨어주고 머리에 잠도 눈이로1) 내리고 귀에 잠도 눈이로 내리고 마라 마라 마라 마라 봉로값2) 받으러 야드레3) 갔네 마라 마라 마리4) 밑에 검덩개는 우리 애기 잡재주게 자장 자장 자장 자장 마당 간데5) 잰부닥은6) 타다 말다 말 일인가 마라 마라 마라 마라 우리 애기 잠재주게 마라 마라 마라 마라 1) 눈이로 → 눈으로. 2) 붕로 → 풍로 : 화로의 한 가지. 아래로 바람이 통하도록 되어 있음. 3) 야드레 → 여드레. 4) 마리 : 마루. 5) 간데 : 가운데. 6) 잰부닥 : 모닥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