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강강술래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강강술래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의 강강술래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하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하님 |
지역개관 | 금호도는 목포에서 뱃길로 20여분, 다시 버스로 30여분쯤 가야하는 곳이다. 원래는 섬이었으나, 91년도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연결되어 버스가 다닌다. 예전에는 반농반어였으나 지금은 아낙네들이 굴채취만 소일삼아 할 뿐 바닷일은 차츰 줄어들고 있다. 가구수는 110여호.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9일에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에서 채집한 강강술래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하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옛날에는 추석이나 정월대보름 저녁에 부녀자들이 둥그렇게 원을 그려 밤새도록 돌며 놀았다. 여러 가지 놀이가 엮어지는데, 놀이 순서와 종류는 <진강강>-<자진강강>-<달맞이(지와밟기)>-<고사리껑기>-<수건돌리기>-<청어엮기>-<문쥐새끼> 등이었다고 한다. |
가사 | <긴소리>
강강 수월래 강강 수월래 오동추야 달은 밝고 강강 수월래 동네 청춘 과부들은 강강 수월래 맘 빈해까1) 수심이오 <잦은소리> 강강 수월래 강강 수월래 웃집 큰아야 잘 있그라 강강 수월래 아랫집 큰아야 잘 있그라 강강 수월래 고양미2) 삼백석은 강강 수월래 부친 앞에 사주하고 강강 수월래 임당수 지수기로3) 강강 수월래 이내 몸을 팔려간다 강강 수월래 뱃머리에 우쭉 서서 강강 수월래 두야 손을 합당하먼4) 강강 수월래 비나이오 비나이오 강강 수월래 하나임전 비나이오 강강 수월래 심청이는 죽드래도 강강 수월래 안맹하신5) 우리 부친 강강 수월래 눈 뜨기만 바라오요 강강 수월래 <술래소리> 술래 술래 짐동지네6) 막내딸년 수월래 시집가든 사흘만에 수월래 모 하러를7) 가라라네 수월래 분질같은8) 이내 다리 수월래 거등거등 걷어쥐고 수월래 모폭지를9) 갈라쥐고 수월래 담상담상 심게가니 수월래 잔비는 부실부실 수월래 굵은 비는 담상담상 수월래 거둥보소10) 거둥보소 수월래 씨아버니 거둥보소 수월래 가래착을11) 들쳐미고 수월래 물꼬 단속 나오신다 수월래 에라 요것 못하겄다 수월래 마당 간데 들어서서 수월래 배삐12) 방에 들어서서 수월래 비상 사불을13) 수월래 이것을 묵을꺼나 수월래 이야 시상을 말을꺼나14) 수월래 그놈 한번 홀짝 마세 수월래 이야 시상이 말었구나 수월래 서당선부15) 오시드니 수월래 시집살이 되닥 하드니16) 수월래 낮잠자기 웬일이오 수월래 분질같은 이내 발로 수월래 이리 차고 저리 차도 수월래 그래해도 안 인나고 수월래 아랫방에 아버님도 수월래 이리 쪼끔 오시시오 수월래 저 건네 김서방도 수월래 쟁기 연장 거그 두고 수월래 이리 쪼깐 건네오소 수월래 쟁인 장모 알고 보먼 수월래 관사일을17) 어찌하까 수월래 처남남매 알고 보먼 수월래 송사일을18) 어쩔끄나 수월래 활등같은 굽은 절로 수월래 치상 난매나19) 걸게 치소 수월래 수월래 수월래 1) 빈해까 : 변할까. 2) 고양미 : 공양미. 3) 임당수 지수기로 → 인당수 지수기로. 지수기로의 뜻은 모름. 4) 합당하면 : 합장하면. 5) 안맹(眼盲)하신. 6) 짐동지 : 김동지. 7) 모 하러를 : 모일하러. 8) 분질 : 분결. 9) 모폭지 : 모포기. 10) 거둥보소 → 거동(擧動)보소. 11) 가래착 : 가래장부. 가랫날을 끼우지 아니한 가래의 나무 부분 전체. 가래는 삽과 비슷하나 날을 끼운 넓적한 몸에 긴 자루를 박고, 몸 양편에 구멍을 뚫고 줄(가랫줄)을 매어, 한 사람이 자루를 잡고 흙을 떠서 밀면 두 사람이 그 줄을 잡아당기어 흙을 던지게 되어 있는 농기구. 12) 배삐 → 바삐. 13) 비상사불 → 비상사발. 14) 이야시상을 말을거나 : 이 세상을 떠날거나라는 뜻. 15) 서당선부 : 서당선비. 16) 되닥 하드니 : 되다고 하더니. 17) 관사(官事) : 관청에 관계되는 일. 18) 송사(訟事) : 백성끼리의 분쟁에서 옳고 그름을 판결해 주기를 관부에 호소하던 일. 19) 치상 난매(治喪-) : 치상은 초상을 치름. 난매의 뜻은 모름. |